Reading Expert 5 [2020] - U11-U12
78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Human beings are endlessly innovative.
인간은 끝없이 혁신적이다.
Over the centuries, we have created many amazing ideas and inventions in order to solve som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history.
수 세기에 걸쳐 우리는 역사상 가장 어려운 문제들 중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놀라운 생각과 발명품을 창조해 왔다.
However, the inspiration for many of these ideas and inventions came from nature.
하지만 이런 생각과 발명품 중 많은 것들의 영감은 자연으로부터 온 것이다.
There is even a name for this field: biomimetics.
심지어 이 분야를 나타내는 생체 모방 기술이라는 이름도 존재한다.
Biomimetics takes advantage of the fact that nature has been undergoing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for billions of years.
생체 모방 기술은 자연이 수십억 년 동안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오고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Over that time, it has perfected many systems and processes that allow plants and animals to survive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and harsh environments.
그 시간 동안 자연은 식물과 동물이 어려운 상황과 거친 환경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하는 여러 체계와 과정을 완벽하게 만들었다.
Therefore, throughout history, humans have been looking to nature for solutions to problems and ideas for inventions.
따라서 역사를 통틀어 인간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발명품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자연을 관찰하고 있다.
The bodies of birds, for example, inspired the design of airplanes, while the water-resistant qualities of lotus flowers have been copied to make waterproof paint.
예를 들어, 새의 몸은 비행기 디자인에 영감을 준 반면, 연꽃의 방수 특성은 방수 페인트를 제작하기 위해 모방되었다.
Today, many new and exciting applications of biomimetics are being considered by scientists.
오늘날, 여러 새롭고 흥미로운 생체 모방 기술의 적용이 과학자들에 의해 고려되고 있다.
For example, the strong silk used by spiders to make their webs may lead engineers to a flexible material that could be used to make bridge cables.
예를 들어, 거미가 거미줄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강한 실은 다리의 케이블을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탄력적인 물질로 공학자들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Scientists have also been carefully studying animals that dive deep into the water to learn how they lower their brain temperatures and slow their metabolisms.
과학자들은 물속 깊이 잠수하는 동물들이 뇌의 온도를 어떻게 낮추고, 신진대사를 어떻게 늦추는지를 알기 위해 그 동물들도 면밀히 연구해 오고 있다.
It is hoped that this can help doctors find a way to treat seriously injured patients by putting their bodies into a similar state.
이는 의사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은 환자의 몸을 비슷한 상태에 둠으로써 그들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omimetic research is also being done on a wide variety of other ideas.
또한, 생체 모방 기술 연구는 매우 다양한 아이디어로도 행해지고 있다.
A strong illustration is research on how plant leaves could be used as the model for a new kind of solar panel.
한 가지 설득력 있는 예는 식물의 잎이 새로운 종류의 태양 전지판 모델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A substance mussels use to attach themselves to rocks is similarly being studied and copied in order to create a non-toxic glue for surgeons.
홍합이 자신을 바위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은 외과 전문의들을 위한 무독성 접착제를 고안할 수 있도록 마찬가지로 연구되고 모방되고 있다.
Ultimately, biomimetics creates a new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궁극적으로, 생체 모방 기술은 인간과 자연 간의 새로운 종류의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Instead of treating animals, plants, and microbes as resources to be controlled or harvested, we are now looking at them as teach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to share.
동물, 식물 및 미생물을 통제하고 채취하는 자원으로 다루는 대신, 이제 우리는 그것들을 소중한 정보를 공유하는 스승으로 보고 있다.
Nearly 200 years ago, Charles Darwin described the first time that he observed ocean water full of tiny bioluminescent organisms.
거의 200년 전에, 찰스 다윈은 아주 작은 생물 발광의 유기체로 가득한 바닷물을 처음으로 관찰했던 때를 묘사했다.
He wrote that the sea was glowing with flickers of light.
그는 바다가 깜빡이는 빛으로 빛나고 있다고 적었다.
He also noted that the water still flashed with sparks of light after it was collected in a bottle.
그는 또한 그 물이 병 속에 들어간 후에도 여전히 섬광을 내며 번쩍였다고 써두었다.
At the time, no one knew what caused the glow, but bioluminescence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research since then.
그 당시에는 무엇이 그 불빛을 생겨나게 했는지 아무도 몰랐지만, 그때부터 생물 발광은 많은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다.
Bioluminescence simply means light made by living things.
생물 발광은 단순히 생명체에 의해 만들어진 빛을 의미한다.
Fireflies are a common example, but the phenomenon is found in some fish, mushrooms, bacteria, and other creatures as well.
반딧불이가 흔한 예이지만, 그 현상은 일부 어류, 버섯, 박테리아, 그리고 다른 생물에서도 발견된다.
We now know that the light is made by chemicals called luciferins.
이제 우리는 그 빛이 루시페린이라 불리는 화학 물질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안다.
The organisms light up when enzymes called luciferases interact with luciferin, and the varieties of luciferin in different creatures produce different colors of light.
유기체들은 루시페라아제라고 불리는 효소가 루시페린과 상호 작용할 때 빛이 나고, 여러 생물 속의 다양한 루시페린은 다른 색의 빛을 만들어 낸다.
Humans have occasionally made use of bioluminescence in the past.
과거에 인간은 가끔 생물 발광을 이용했다.
Glowing fungus growing on wood may have been used to mark trails through forests, and miners have used jars of fireflies to light their work underground.
나무에서 자라는 발광 곰팡이는 숲을 가로지르는 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을지도 모르며, 광부들은 지하에 있는 그들의 작업장을 밝히는 데 반딧불이가 든 병을 사용해 왔다.
Unlike common light sources, bioluminescence produces almost no heat, so it is an attractive tool under many circumstances.
흔한 광원과는 달리, 생물 발광은 열을 거의 내지 않으므로 많은 상황에서 매력적인 도구이다.
Today, even more applications of bioluminescence are possible.
오늘날에는, 생물 발광을 훨씬 더 많이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used to warn of toxic substances in water.
예를 들어, 그것은 물속의 독성 물질을 경고하는 데 사용된다.
Bioluminescent bacteria in water grow dimmer when toxic substances are present, alerting people to test for contamination from pesticides or heavy metals.
물속의 생물 발광 박테리아는 독성 물질이 있으면 더 흐릿해져서 살충제나 중금속으로부터의 오염이 있는지 검사하도록 사람들에게 경고한다.
In addition, inventors are trying to create eco-friendly lamps from algae that glow when the water they live in moves.
또한, 발명가들은 자신들이 서식하는 물이 움직일 때 빛을 내는 조류를 이용해 친환경적인 램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These lamps are expected to reduce energy usage and light pollution.
이러한 램프는 에너지 사용량과 광공해를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In medical research, firefly luciferase is mixed with a dye that causes it to emit near-infrared light, which can be detected through relatively thick layers of tissue.
의학 연구에서 반딧불이의 루시페라아제는 그것이 근적외선을 방출하게 하는 염료와 혼합되는데, 그 근적외선은 비교적 두꺼운 조직층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This mixture is used to mark blood clotting proteins, making it easier to monitor the effectiveness of blood thinners.
이 혼합물은 혈액 응고 단백질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어 혈액 희석제의 효과를 추적 관찰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해 준다.
Bioluminescence is older than the human species, but modern technology is giving it brand new uses.
생물 발광은 인류보다 더 오래되었지만, 현대 기술은 그것에 완전히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고 있다.
What was once a mysterious phenomenon is now helping us understand more about our bodies and the world around us, and hopefully allowing us to find ways to generate light with minimal environmental impact.
한때는 불가사의한 현상이었던 것이 이제는 우리가 우리의 신체와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더 잘 이해하게 도와주고, 바라건대 우리가 최소한의 환경적인 영향을 주는 빛을 만들어 내는 방법들을 찾도록 해 주고 있다.
You may have never heard of coltan, a kind of mineral found mostly in Africa.
여러분은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광물의 한 종류인 콜탄에 대해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을지도 모른다.
However, it contains tantalum, a rare metal that is probably a big part of your life.
하지만 이것은 아마 여러분의 인생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희귀한 금속인 탄탈럼을 포함하고 있다.
Tantalum is used to make tantalum capacitors, which are an essential component of cameras, laptops, and cell phones.
탄탈럼은 카메라, 노트북, 휴대 전화의 필수 구성 요소인 탄탈럼 축전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Not surprisingly, this makes tantalum highly valuable―so valuable, in fact, that a terrible conflict is being fought over it.
이 점이 탄탈럼을 매우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사실 너무 귀하기 때문에 그것을 두고 심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About 80% of the world’s coltan is found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전 세계 콜탄의 약 80%는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발견된다.
Currently, the country is in the middle of a violent armed conflict, and most of its coltan mines are controlled by military groups.
현재 이 국가는 폭력적인 무력 분쟁을 겪고 있고, 대부분의 콜탄 광산은 군사 세력에 의해 통제된다.
They extract the coltan and sell it to neighboring countries, using the money to buy more weapons.
그들은 콜탄을 추출하고 이웃 국가에 판매하여 그 돈을 더 많은 무기를 사는 데 사용한다.
More and more people are buying electronic devices containing tantalum each year.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매년 탄탈럼을 함유한 전자 기기를 구매하고 있다.
To meet this demand, large amounts of coltan must be dug out of the earth.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콜탄이 땅에서 채굴되어야 한다.
In many cases, small children are forced to work in the mines.
많은 경우에 어린 아이들이 광산에서 일하도록 강요당한다.
Many farmers, whose fields have been destroyed in the fighting, are also employed by these mines.
이 분쟁으로 농경지가 훼손된 많은 농부들도 이러한 광산에 고용된다.
Although they receive a fair wage, they are often robbed of their pay by armed soldiers.
비록 적정한 임금을 받고 있지만, 그들은 종종 무장 군인들에게 급료를 강탈당한다.
But humans aren’t the only ones being negatively affected.
하지만 인간들만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니다.
Wildlife in the area is also suffering.
그 지역의 야생 동물들 또한 고통받고 있다.
Endangered gorillas live in the area where coltan is mined, and they are often killed in the process of mining.
멸종 위기에 처한 고릴라들이 콜탄이 채굴되는 지역에 서식하고 있고, 그들은 채굴 과정에서 자주 죽임을 당한다.
The eastern region of the Congo was once home to thousands of eastern lowland gorillas; although the current population is unknown, it is believed to have been reduced by more than 50%.
콩고의 동쪽 지역은 한때 동부 저지대 고릴라 수천 마리의 서식지였다. 현재 개체 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conflict in the Congo is a complicated situation without an easy solution.
콩고의 이 분쟁은 쉬운 해결책이 없는 복잡한 상황이다.
However, businesses can improve the situation by refusing to buy any coltan coming from military groups.
하지만 기업들이 군사 세력이 제공하는 콜탄을 구입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Moreover, within the Congo, they can work to support legitimate coltan mines, making sure the profits are used to benefit communities.
게다가, 콩고 내에서는 수익이 반드시 지역 사회에 이득이 되는 데 쓰이도록 하면서 기업들은 적법한 콜탄 광산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Individuals can also help.
개개인도 도움을 줄 수 있다.
By keeping our old electronic devices rather than buying new ones each year, we can reduce the demand for coltan.
매년 새로운 것을 사는 대신, 가지고 있던 전자 기기를 유지하며 콜탄의 수요를 줄일 수 있다.
Then when we do upgrade to a newer model, we can recycle the old one or give it to charity instead of throwing it in the trash.
그리고 새로운 모델로 업그레이드를 할 때 오래된 물건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대신 재활용하거나 자선 단체에 기증할 수도 있다.
Even the smallest efforts, when made by millions of consumers, can make a difference.
아주 작은 노력이라도 수백만 명의 소비자들에 의해 행해지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Decades ago, foreigners were a rare sight in Korea, and many Koreans were actually proud of the fact that their country had very little ethnic diversity.
수십 년 전에는 한국에서 외국인을 거의 보기 힘들었고, 많은 한국인들은 자신의 나라가 인종적 다양성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실제로 자부심을 느꼈다.
But things have certainly changed.
하지만 상황이 확실히 변했다.
As Korea globalizes, the country’s population is starting to become more ethnically and racially diverse.
한국이 세계화함에 따라, 한국의 인구도 민족적, 인종적으로 더 다양해지기 시작하고 있다.
These changes came after the Korean War, when Korea began rebuilding and accepting foreign influences.
이 변화는 한국 전쟁 후에 일어났는데, 그때는 한국이 재건하고 외세를 받아들이기 시작한 때였다.
The country grew rapidly over several decades and established itself as a global power in business and technology.
한국은 몇십 년간 급격히 성장했고 사업과 기술 분야에서 강대국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Many foreigners started to move to Korea for work, which gradually broadened the country’s demographics.
많은 외국인들이 일하기 위해 한국에 오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점차적으로 한국의 인구 통계를 넓혔다.
Meanwhile, many Korean families opened their arms to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through transnational marriages.
그러는 동안, 많은 한국 가구들은 다국적 결혼을 통해 다른 배경 출신의 사람들을 맞이했다.
Unfortunately, members of these multiracial families, along with many of the people who have immigrated to Korea, do not always find it easy to feel accepted.
안타깝게도, 이러한 다인종 가구의 구성원들은 한국에 이민 온 사람들 중 다수와 마찬가지로, 받아들여졌다고 느끼기가 항상 쉽지는 않다.
Some Koreans still have a hard time thinking of people from other cultures as being Korean.
일부 한국인은 아직도 다른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을 한국인으로 여기는 것을 어려워한다.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se old attitudes and find a way for everyone to live in harmony.
이런 낡은 태도를 바꾸고 모두가 조화를 이루며 살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One country that can serve as a model for Korea is Canada.
한국에 모범을 보여줄 수 있는 한 나라가 캐나다이다.
Canada has the highest immigration rate in the world and was the first country to make multiculturalism an official national policy.
캐나다는 세계에서 이민자 비율이 가장 높으며, 다문화주의를 국가의 공식 정책으로 삼은 최초의 나라였다.
Rather than expecting immigrants to adopt Canadian culture, the Canadian government encourages them to hold on to their own culture and identity.
이민자들이 캐나다의 문화를 받아들이기를 기대하기보다, 캐나다 정부는 이민자들이 자신의 고유한 문화와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장려한다.
At the same time, they expect the immigrants to embrace Canada as their new home and respect Canadian society.
동시에 그들은 이민자들이 캐나다를 새로운 조국으로 받아들이고 캐나다 사회를 존중할 것을 기대한다.
A country does not automatically become multicultural by allowing a large number of immigrants through its borders.
국경을 통해 다수의 이민자를 허용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다문화 국가가 되는 것은 아니다.
It requires trul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cultures and beliefs of newcomers.
새로 온 사람들의 문화와 신념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rocess can take many years, as it is often quite difficult to change the attitudes of the older generation.
이 과정은 수년이 걸릴 수도 있는데, 기성세대의 태도를 바꾸는 것은 대개 꽤 어렵기 때문이다.
Yet this is where Korea now finds itself, taking the first few steps on the road to multiculturalism.
그러나 이곳이 현재 한국이 서 있는 자리이며, 다문화주의로 가는 여정의 첫발을 내딛고 있는 것이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