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BM 공통영어2 본문(박준언, 2022) Lesson 1-4
222 카드 | ybmadmin
세트공유
Warning: Fake News Alert!
경고: 가짜 뉴스 주의!
While scrolling through her social media one day, Gina was astonished when she saw the news headline, “The Heundeulbawi in Seoraksan National Park Has Fallen.”
어느 날 지나는 소셜 미디어를 스크롤하다가 ‘설악산 국립공원 흔들바위가 떨어졌다’는 뉴스 헤드라인을 보고 깜짝 놀랐다.
Gina immediately shared the shocking story with her close friends.
지나는 즉시 친한 친구들에게 이 충격적인 소식을 공유했다.
Later, during the morning news on TV, a reporter standing next to the undamaged Heundeulbawi said, “Today’s Internet stories of the Heundeulbawi being damaged were fake.”
이후에, TV의 아침 뉴스에서 피해 없는 흔들바위 옆에 서 있던 기자가 “오늘 인터넷에 올라온 흔들바위가 무너졌다는 기사는 가짜였습니다”라고 말했다.
Gina was embarrassed by the fact that she had spread the fake news.
지나는 자신이 가짜 뉴스를 퍼뜨렸다는 사실에 당황했다.
It reminded her of another incident of fake news that had happened a while ago.
이것은 지나에게 얼마 전 있었던 또 다른 가짜 뉴스 사건을 떠올리게 했다.
The news that a famous athlete had died became the number one issue online, but it turned out to be fake.
유명한 운동선수가 사망했다는 뉴스가 온라인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되었지만, 가짜로 밝혀졌다.
It had been made by content creators who sought people’s attention.
이것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 콘텐츠 제작자들이 만든 것이었다.
They produced provocative false stories to make money by raising the number of views of their posts.
그들은 자신들의 게시물의 조회수를 높여 돈을 벌기 위해 자극적인 가짜 뉴스를 생산했다.
At that time, Gina criticized those who had made and spread fake news because it had hurt the athlete and confused people.
그 당시, 지나는 그런 가짜 뉴스를 만들고 퍼뜨린 사람들을 비판했었는데, 그것은 운동선수에게 상처를 주고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했기 때문이었다.
This time, however, Gina herself had accidentally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fake news.
하지만, 이번에는 지나 자신이 실수로 가짜 뉴스의 확산에 기여한 셈이 되었다.
The Impact of Fake News on Society
가짜 뉴스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Unfortunately, becoming an accidental distributor of fake news like Gina is not unusual.
안타깝게도 지나처럼 우발적으로 가짜 뉴스를 유포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Fake news is a deliberate attempt to manipulate people by spreading inaccurate information.
가짜 뉴스는 부정확한 정보를 퍼뜨림으로써 사람들을 조종하려는 의도적인 시도이다.
It is made by certain groups with the intention of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making profits, or gaining political benefits.
가짜 뉴스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거나, 이익을 얻거나, 혹은 정치적 이득을 얻으려는 의도를 가진 특정 집단에 의해 만들어진다.
It can confuse people, disturb society, and even seriously harm the public as well as all individuals involved.
이것은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사회를 어지럽히고, 심지어 관련된 모든 개인뿐만 아니라 대중에게 심각하게 해를 끼칠 수 있다.
It is very common for fake news to spread during states of emergency.
비상사태 동안 가짜 뉴스가 퍼지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
For example, after an earthquake measuring 6.5 struck Ambon, Indonesia, in September 2019, thousands of residents did not return to their homes and were still in shelters for two weeks.
예를 들어, 2019년 9월 인도네시아 암본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후, 수천 명의 주민들이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2주 동안 대피소에 머물렀다.
This was because of fake news stories on social media that another earthquake followed by a tsunami was about to strike.
이것은 소셜 미디어에 또 다른 지진이 발생한 후 쓰나미가 곧 이어질 것이라는 가짜 뉴스 이야기 때문이었다.
One of those messages said, “It’s up to you if you want to believe me or not, but apparently Ambon is going to sink in the next few days.”
그 메시지 중 하나는 ‘내 말을 믿든 믿지 않든 당신 마음이지만, 분명히 앞으로 며칠 안에 암본이 가라앉을 것이다’라는 내용이었다.
Many displaced people were so anxious about aftershocks that the government had to announce that the information was fake.
많은 이재민들이 여진에 대한 불안감에 휩싸여 있었기 때문에 정부는 이 정보가 가짜라고 발표해야 했다.
The Reasons for the Viral Spread of Fake News
가짜 뉴스가 빠르게 퍼지는 이유
Fake news on social media spreads significantly farther and faster than true stories.
소셜 미디어에서 가짜 뉴스는 진짜 이야기보다 훨씬 더 멀리, 빠르게 퍼진다.
A study by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 the US has shown that fake news spreads online 6 times faster than real news on average.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의 한 연구에 따르면 가짜 뉴스는 평균적으로 진짜 뉴스보다 6배 빠르게 온라인에서 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One explanati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people like new and provocative things.
이러한 현상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사람들이 새롭고 자극적인 것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When information is astonishing, people not only feel that it is surprising, but they also want to share the stimulating news with others.
정보가 놀라운 것일 때 사람들은 그것이 놀랍다고 느낄 뿐만 아니라, 그 자극적인 뉴스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어 한다.
By passing it to others on social media, they can gain attention because they are the first to post previously unknown, but possibly false, information.
소셜 미디어를 통해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함으로써, 그들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거짓일 수 있는 정보를 게시한 첫 번째 사람이기 때문에 주목을 받을 수 있다.
Also, fake news goes viral because people in their daily lives tend to think simply and effortlessly.
또한, 가짜 뉴스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단순하고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널리 퍼진다.
It is more likely for them to believe new information without any proof, instead of critically examining it.
사람들은 비판적으로 그것을 조사하는 대신에, 어떠한 증거도 없이 새로운 정보를 믿을 가능성이 더 크다.
Moreover, people are inclined to believe information that fits their prejudices or experiences even when not true.
또한, 사람들은 사실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편견이나 경험에 부합하는 정보를 믿으려는 경향이 있다.
In this process, people easily fall into the trap of “confirmation bias.”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확증 편향’의 함정에 쉽게 빠진다.
That is, they selectively accept news in a way that only confirms their beliefs and ignore news that doesn’t support them.
즉, 그들은 자신의 신념을 확인시켜주는 뉴스만 선별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뒷받침하지 않는 뉴스는 무시한다.
During election season, for example, people tend to blindly believe any news describing their favored candidates in a positive way, while unconsciously believing news that reports something negative about other candidates.
예를 들어, 선거철에는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모든 뉴스를 맹목적으로 믿는 반면, 다른 후보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을 보도하는 뉴스는 무의식적으로 믿는 경향이 있다.
Ways to Spot and Avoid Fake News
가짜 뉴스를 식별하고 피하는 방법
With so muc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ow can you make sure that fake news does not mislead you?
인터넷에 그렇게 많은 정보가 있는데 어떻게 가짜 뉴스가 당신을 현혹하지 않는지 확신할 수 있을까?
First, read beyond the provocative headlines.
첫째, 자극적인 표제를 넘어 읽어라.
They can be so stimulating to get more clicks that you may click on them accidentally.
그것들은 더 많은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지나치게 자극적이어서 당신은 뜻하지 않게 그것들을 클릭할 수 있다.
So don’t just read the headlines, but read the text carefully.
따라서 표제만 읽지 말고 본문을 주의 깊게 읽어라.
Second, don’t read the news at face value.
둘째, 뉴스를 액면 그대로 읽지 말아라.
Exercise critical thinking skills to judge the news.
뉴스를 판단하기 위해 비판적인 사고 기술을 연습해라.
You should question, analyze, and evaluate what you read.
당신은 당신이 읽은 내용에 대해 질문하고, 분석하고, 평가해야 한다.
Third, examine your biases.
셋째, 당신의 편견을 점검해라.
Consider if your own beliefs could affect your judgment.
자신의 신념이 당신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려해라.
Ask yourself if you are only reading articles that suit your opinion, and look for articles that oppose your opinion as well.
자신의 의견에 맞는 기사만 읽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자신의 의견에 반대되는 기사도 찾아보아라.
Finally, check the credibility of the source.
마지막으로, 출처의 신뢰성을 확인해라.
You should examine who wrote the news story and what the intent was behind writing the news story.
당신은 뉴스 기사를 작성한 사람이 누구인지, 뉴스 기사를 작성한 의도가 무엇인지 살펴봐야 한다.
You also need to check whether the news story is from a reliable media source and the evidence is valid.
또한 당신은 뉴스 기사가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 출처에서 나온 것인지, 증거가 타당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In the digital age, it might be impossible to avoid or eliminate all false information that spreads online.
디지털 시대에는 온라인에서 퍼지는 모든 거짓 정보를 피하거나 없애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However, if you have the ability to view information critically and objectively, you will be able to reduce the damage that fake news can cause.
하지만 만약 당신이 정보를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당신은 가짜 뉴스가 야기할 수 있는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Don’t forget! Anyone can be the next person producing or spreading fake news!
잊지 말아라! 누구나 가짜 뉴스를 생산하거나 퍼뜨리는 다음의 사람이 될 수 있다!
Dry
드라이
The kitchen tap makes strange sounds.
주방 수도꼭지가 이상한 소리를 낸다.
It coughs. It spits once, and then goes silent.
기침을 한다. 침을 한 번 뱉더니 조용해진다.
“Mom,” I shout out into the living room, “water is not coming out.”
“엄마,” 나는 거실을 향해 소리친다. “물이 안 나와요.”
“Alyssa, shush!” Mom says.
“Alyssa, 조용히 해!” 엄마가 말한다.
She is watching the TV, where a news anchor is talking about the “flow crisis.”
엄마는 TV를 보고 있고, TV에서는 뉴스 앵커가 ‘물 공급 위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This is what the media has been calling the drought ever since people got tired of hearing the word “drought.”
사람들이 ‘가뭄’이라는 단어를 듣는 데 지친 이후로 언론은 가뭄을 이렇게 부르고 있다.
Now the crisis is entering a new stage.
이제 위기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We have no running water out of the tap.
수도꼭지에서 수돗물이 나오지 않는다.
“To the mall!” says Uncle Basil.
“쇼핑몰로 가자!” Basil 삼촌이 말한다.
My little brother Garrett and I jump in Uncle’s truck.
동생 Garrett과 나는 삼촌의 트럭에 올라탄다.
As we pull into the parking lot, we can see the crowd.
주차장에 차를 세우자 많은 사람이 눈에 들어온다.
“You two go in. I’ll meet you inside,” Uncle Basil says.
“너희 둘은 들어가. 안에서 만나자.”라고 Basil 삼촌이 말한다.
Inside it’s like Black Friday at its worst ― but today it’s not televisions and video games people are after.
내부 풍경은 최악의 블랙 프라이데이와 비슷하지만, 오늘 사람들이 찾는 것은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게임이 아니다.
What I see in the carts in the checkout line are mostly water bottles.
계산대에 줄을 선 카트에 보이는 것은 대부분 물병이다.
The essentials of life.
생명의 필수품.
There is a look of impatience on the faces of the people in line.
줄을 선 사람들의 얼굴에는 조급한 표정이 역력하다.
There is even hostility, hidden by a thin layer of politeness.
심지어는 공손함 뒤에 숨은 적대감까지 느껴진다.
Even that politeness is stretched thin.
그 공손함조차 얇아져 있다.
As I approach the back of the store for water bottles, I realize I am too late.
물병을 사러 매장 뒤편에 다다랐을 때 나는 너무 늦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The shelves are already empty.
진열대는 이미 비어있다.
I manage my way to the side aisle, trying my luck.
옆 통로로 가서 운을 시험해 본다.
Sometimes people place unwanted items in the wrong shelves.
가끔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물건을 엉뚱한 선반에 놓는 경우가 있다.
Lucky! I find a single case of water that someone abandoned there maybe yesterday, when it wasn’t such a precious commodity.
운이 좋다! 물이 그렇게 귀한 물건이 아니었던 어제 누군가 그곳에 버린 생수 한 상자를 발견한다.
I reach for it, only to find it pulled away at the last second by a woman.
손을 뻗어 생수 상자를 집어 들려는 순간, 한 여자가 상자를 가져가는 것을 본다.
She stacks it on top of her cart like a crown on top of her canned goods.
그녀는 생수 상자를 카트에 담긴 통조림 위에 마치 왕관처럼 쌓아 놓는다.
“I’m sorry, but we were here first,” she says.
“미안하지만 우리가 먼저 왔어요.” 그녀가 말한다.
And then her daughter steps forward ― a girl I recognize from soccer ― Hali Hartling.
그러자 그녀의 딸이 앞으로 나오는데, 축구팀에서 알고 있는 Hali Hartling이다.
As her mother pulls their cart away, Hali leans closer to me.
엄마가 카트를 끌고 가자 Hali가 내게 몸을 기울인다.
“I’m sorry about that, Alyssa.”
“미안해, Alyssa.”
“Didn’t I share my water with you at the practice last week?” I point out to her.
“지난주 연습할 때 내가 물 나눠주지 않았니?” 나는 그녀에게 지적한다.
“Maybe you could return the favor and share a few bottles with me.”
“너도 호의를 베풀어서 나랑 물 몇 병 나눠도 되겠네.”
She looks back to her mother, who’s already moving down the aisle, then turns back to me shaking her head.
그녀는 이미 통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어머니를 돌아보더니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내게로 돌아선다.
And then she gets a little bit red in the face, and turns to leave before it becomes a deep flush.
그러고는 얼굴이 약간 붉어지더니 더 붉어지기 전에 자리를 뜨려고 돌아선다.
I look for Garrett, whom I find in the frozen aisle.
나는 냉동식품 통로에서 Garrett을 발견한다.
Then I see something.
그러다 뭔가를 발견한다.
Just past the frozen vegetables and ice cream, there is a case packed with ice.
냉동 야채와 아이스크림 바로 옆에 얼음이 가득 담긴 상자가 있다.
I open the door and reach for a bag.
나는 문을 열고 얼음 봉지를 잡는다.
“What are you doing? We need water, not ice,” he reminds me.
“뭐 하는 거야? 우린 얼음이 아니라 물이 필요해.” 동생이 내게 상기시켜 준다.
“Ice is water. Just help me,” I tell him.
“얼음은 물이야. 돕기나 해.” 내가 말한다.
Garrett and I put one bag of ice after another into our cart, until it is piled as high as it can get.
Garrett과 나는 최대한 높이 쌓일 때까지 얼음 봉지를 카트에 담는다.
By now other people have taken notice and begin to empty the ice case.
이제 다른 사람들도 눈치를 채고 얼음 상자를 비우기 시작한다.
The cart is ridiculously heavy now, and almost impossible to push.
이제 카트는 엄청나게 무거워져서 밀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다.
Then, a man in a business suit comes up behind us.
그때 정장 차림의 한 남자가 우리 뒤에서 나타난다.
He smiles. “Looks like you could use some help.”
그는 미소를 짓는다. “도움이 필요한 것 같구나.”
He doesn’t wait for us to answer before grabbing the cart’s handle.
그는 우리가 대답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카트 손잡이를 잡는다.
“Thank you for helping us,” I tell him.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는 그에게 말한다.
“Not a problem. We all need to help one another.”
“별거 아니야. 우리 모두 서로 도와야지.”
He smiles again, and I return the smile.
그는 다시 미소를 짓고 나도 미소로 화답한다.
It is good to know that difficult times can bring out the best in people.
어려운 시기에 사람들의 장점이 드러난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은 좋은 일이다.
I decide that one favor deserves another.
나는 호의에는 호의로 보답해야 한다고 결심한다.
“Why don’t you take a bag of ice for yourself,” I suggest.
“얼음 한 봉지 가져가세요.” 내가 제안한다.
His smile does not fade.
그의 미소가 사라지지 않는다.
“I have a better idea,” he says.
“더 좋은 생각이 있어.” 그가 말한다.
“Why don’t you take a bag of ice for yourselves, and I’ll keep the rest.”
“너희가 얼음 한 봉지 가져가고 나머지는 내가 가질게.”
For a moment I think he is joking, but then realize he is serious.
잠시 나는 그가 농담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곧 그가 진지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Excuse me?”
“네?”
He is still smiling, but his eyes scare me.
그는 여전히 웃고 있지만 그의 눈빛이 무섭다.
As long as his hands are firmly locked on the handle of our cart, there is nothing to prove that it’s ours and not his.
그의 손이 우리 카트 손잡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한, 카트가 그의 것이 아니라 우리 것임을 증명할 방법은 없다.
“Is there a problem here?” It is Uncle Basil.
“무슨 문제 있나요?” Basil 삼촌이다.
He has arrived just in time.
제시간에 맞춰 도착했다.
“Not at all.” The man looks at the ice with a bitter face, then leaves.
“전혀요.” 남자는 씁쓸한 표정으로 얼음을 바라보다가 자리를 뜬다.
The above is a shortened version of the opening of the novel Dry (2018).
위 내용은 소설 <드라이>(Dry, 2018)의 도입부를 축약한 것이다.
It tells the story of a girl who has to make tough choices for her family during a disastrous California drought.
이 소설은 캘리포니아의 재앙적인 가뭄 속에서 가족을 위해 힘든 선택을 해야 하는 한 소녀의 이야기이다.
Her unwanted adventure ends when the water supply resumes and life is back to normal.
소녀의 원치 않는 모험은 물 공급이 재개되고 생활이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끝난다.
Provided tha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water shortages worldwide are not addressed, including climate change, population growth, and using too much water for agriculture, it is possible that this story can become a reality.
기후 변화, 인구 증가, 농업용수 과다 사용 등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을 야기하는 요인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 소설의 이야기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Resilience: The Power to Overcome
회복 탄력성: 극복하는 힘
City Wellness Center Newsletter
시립웰니스센터 뉴스레터
This week’s topic in the City Wellness Center Newsletter is resilience, or “the power to overcome.”
이번 주 시립웰니스센터 뉴스레터의 주제는 회복 탄력성, 즉 ‘극복하는 힘’이다.
Julia Hone, a famous doctor, tells us how we can deal with difficult times by cultivating our inner strength.
유명한 의사인 Julia Hone은 우리가 내적 힘을 기름으로써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해준다.
No life is free from problems.
어떤 삶도 문제가 없는 삶은 없습니다.
Whatever life path we choose, we all experience adversity.
어떤 인생의 길을 택하건 우리는 모두 역경을 겪습니다.
This can take the form of illness, accidents, failure in exams, family and relationship issues, or other stresses.
이것은 질병, 사고, 시험 실패, 가족 및 관계 문제, 혹은 그 외 다른 스트레스의 형태를 띨 수 있습니다.
To cope, we all need the ability to overcome difficulties, which is known as resilience.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우리 모두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능력이 필요한데, 이를 회복 탄력성이라고 합니다.
Resilience means springing back, just like a bouncy ball after hitting the ground.
회복 탄력성은 땅에 부딪힌 후 튀는 공처럼 다시 튀어 오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If you are resilient, you can bounce back and recover quickly from the hard times you experience.
당신이 회복 탄력성이 있으면 당신이 경험하는 힘든 시기로부터 튀어 올라 빠르게 회복될 수 있습니다.
Furthermore, you learn and grow from adversity.
나아가 당신은 역경으로부터 배우고 성장하게 됩니다.
So, resilience is the ability to handle, recover from, and benefit from difficult life events.
그러므로 회복 탄력성이란 삶의 힘든 사건을 다루고, 그것으로부터 회복되고, 그것에서 유익을 얻는 능력을 말합니다.
There are countless stories of successful people who not only survived adversity but used it as a stepping stone to growth.
역경 속에서 살아남았을 뿐 아니라 이를 성장의 디딤돌로 삼은, 셀 수 없이 많은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Fairy tale writer Hans Andersen said that his childhood poverty, the early loss of his father, and his experience of being disrespected were the sources for his most popular stories.
동화 작가 Hans Andersen은 어린 시절의 가난, 일찍 아버지를 잃은 경험, 멸시받은 경험이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이야기들의 원천이었다고 말했습니다.
“The hardship was a real blessing that inspired me to write stories like The Little Match Girl, The Snow Queen, and The Ugly Duckling.”
“그 시련은 내가 <성냥팔이 소녀>, <눈의 여왕>, <미운 오리새끼> 와 같은 이야기들을 쓰도록 영감을 준 진정한 축복이었습니다.”
Athlete Aimee Mullins also saw her challenges as an opportunity.
운동선수 Aimee Mullins 또한 도전들을 기회로 여겼습니다.
She was born with a medical condition that resulted in losing both legs beneath the knee to surgery.
그녀는 병을 갖고 태어나서 무릎 아래 두 다리를 수술로 잃었습니다.
She competed against athletes without disabilities in a national competition and participated in the Paralympics in 1996.
그녀는 전국 대회에서 장애가 없는 선수들과 경쟁했고 1996년에는 패럴림픽에 참가했습니다.
Her career also includes modeling, acting, and public speaking.
그녀의 경력에는 모델, 연기 및 대중 연설도 포함됩니다.
She says her physical condition is not a disability but the very thing that opened the door for her amazing potential.
그녀는 자신의 신체적 상태가 장애가 아니라 자신의 놀라운 잠재력의 문을 열어 준 바로 그것이라고 말합니다.
Both people succeeded not “despite” adversity but thanks to it.
이 두 사람 다 역경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것이 아니라, 역경 때문에 성공한 것입니다.
This is the real bouncing back.
이것이 진짜 다시 튀어 오르기입니다.
You might think “Hey, these are exceptional people.”
어쩌면 당신은 “이봐요, 이들은 예외적인 사람들이죠.”라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However, we are all born with the potential for resilience.
그러나 우리 모두 회복 탄력성의 잠재력을 갖고 태어납니다.
Just like these people, we all can develop the strength to quickly recover from a crisis that could otherwise cause lasting damage to our mental health.
이 사람들과 꼭 마찬가지로 우리 모두는 정신 건강에 지속적인 해를 입힐 수도 있는 그런 위기에서 빠르게 회복하는 힘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The good news is that resilience is like a muscle.
희소식은 회복 탄력성이 일종의 근육과 비슷하다는 점입니다.
You can build it up through practice, by developing thoughts, behaviors, and habits that allow you to recover from painful or stressful events.
회복 탄력성은 연습을 통해서, 즉 고통스럽거나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게 하는 생각, 행동, 습관을 발달시킴으로써 키울 수 있습니다.
Here are three basic strategies to build up this “resilience muscle.”
이 ‘회복 탄력성 근육’을 키우는 세 가지 기본 전략을 여기 소개합니다.
Three Basic Strategies to Build Up Your “Resilience Muscle”
‘회복 탄력성 근육’을 키우는 세 가지 기본 전략
First, accept and respect adversity as a natural part of life.
첫째, 역경을 삶의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존중하세요.
This doesn’t mean being passive, but understanding that some changes in life can cause suffering or stress.
이것은 수동적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어떤 변화들은 고통과 스트레스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n, instead of feeling singled out and thinking, “Why me?”, you can face whatever happens and focus on what you can change, not what you can’t.
그러면 소외감을 느끼고 “왜 하필 나야?”라고 생각하는 대신, 무슨 일이 일어나건 직면하면서, 바꿀 수 없는 것 말고 바꿀 수 있는 것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Embracing challenges and unexpected obstacles in your life can help you confront them as a learning process.
인생에서 도전과 예기치 않은 장애물을 포용하는 것은 그것들을 하나의 배움의 과정으로 직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Think of all the success stories that could never have happened without adversity!
역경이 없었다면 결코 생겨날 수 없었던 그 모든 성공담들을 생각해 보세요!
Second, have “me time,” that is, personal time to look after yourself.
둘째, ‘나만의 시간’ 즉 자신을 돌보는 개인적인 시간을 가지세요.
Take a break and be in the present moment, neither regretting the past nor worrying about the future.
과거를 후회하지도, 미래를 걱정하지도 말고 잠시 쉬면서 현재의 순간 속에 있어 보세요.
Walk, meditate, write, draw, listen to music, or exercise.
걷거나, 명상을 하거나,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듣거나, 운동을 하세요.
If you don’t know where to start, the STOP technique can be a great meditative technique.
만약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STOP 기법이 하나의 훌륭한 명상법이 될 수 있습니다.
It works like this.
그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Stop whatever you are doing.
하던 일을 무엇이건 멈추세요.
Take a few deep breaths.
깊은 호흡을 몇 번 하세요.
Observe your emotions and thoughts as they are, not judging them as good or bad.
당신의 감정과 생각들을 좋다 나쁘다 판단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지켜보세요.
Proceed with what you were doing.
하던 일을 다시 계속하세요.
Or start something different based on what you observed.
아니면 지켜본 내용을 토대로 뭔가 다른 것을 시작해 보세요.
Now go forward with your life.
이제 당신의 삶을 계속 살아나가는 거죠.
Third, be connected.
셋째, 연결되세요.
Allow yourself to ask for help from people whom you can trust, such as friends, family members, or counselors.
친구, 가족, 상담가와 같이 당신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을 스스로에게 허용하세요.
Talking about your issues with someone can help you see your situation with more clarity and respond to it with more strength.
당신의 문제에 대해 누군가와 이야기하는 것은 당신의 상황을 더 명료하게 보고, 상황에 더 힘차게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Good communication helps resilience.
좋은 의사소통은 회복 탄력성을 돕습니다.
This is the reason why resilient people tend to create good support networks.
이것이 회복 탄력성이 뛰어난 사람들이 좋은 지지 네트워크를 만드는 경향이 있는 이유입니다.
I am not saying that these strategies are easy or remove all stress and suffering.
나는 이런 전략들이 쉽다거나 모든 스트레스와 고통을 없애 준다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Still, I urge you to practice them whenever you can, particularly when you are under stress.
그렇지만 당신이 가능할 때마다, 특히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 방법들을 연습할 것을 강력히 권고합니다.
Remember that there is no better time to build your “resilience muscle” than the moment when you are in the middle of adversity and uncertainty.
역경이나 불확실성의 한가운데에 있을 때보다 더 ‘회복 탄력성 근육’을 키우기 좋은 시기는 없다는 걸 기억하세요.
Practicing resilience during tough times helps you endure and grow stronger.
힘든 시기에 회복 탄력성을 연습하는 것은 당신이 인내하고 더 강해지도록 도와줍니다.
However, you can also apply these strategies to everyday small stresses or minor challenges.
그러나 일상의 사소한 스트레스나 작은 도전에도 이러한 전략들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Then you will gradually become more able to deal with big ones.
그러면 점차 큰 스트레스나 도전도 더 잘 다룰 수 있게 될 것입니다.
Resilient people tend to be happier and more fulfilled because they are less afraid of failing or challenges.
회복 탄력성이 좋은 사람들은 실패나 도전을 덜 두려워하기 때문에 더 행복하고 더 충족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So, building resilience is the key not only to overcoming adversity but also to living a happy life.
따라서 회복 탄력성을 키우는 것은 역경을 이겨내는 열쇠일 뿐 아니라, 행복한 삶을 사는 열쇠이기도 합니다.
Science for All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Microscopes have been an essential tool for science for over 400 years.
현미경은 400년 이상 과학의 필수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If microscopes had not been invented, we might not have discovered bacteria or the microscopic structures of living organisms.
현미경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박테리아나 생명체의 미세한 구조를 발견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In certain areas of the world, however, even basic light microscopes are not accessible due to their cost.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기본적인 광학 현미경조차도 가격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It was the Foldscope that Manu Prakash and Jim Cybulski present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Manu Prakash와 Jim Cybulski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이 바로 폴드스코프이다.
The Foldscope, a paper microscope they invented, achieved powerful magnification, and cost less than a dollar in parts.
이들이 발명한 종이 현미경 폴드스코프는 강력한 배율을 구현하면서도 부품 가격이 1달러도 안 되었다.
“The idea has been to make science accessible to everybody,” said Prakash.
“누구나 과학을 쉽게 접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였습니다.”라고 Prakash는 말했다.
While researching methods for identifying infectious diseases in Thailand in 2011, Prakash came across an expensive microscope that was meant for malaria testing but was unused.
2011년 태국에서 전염병을 식별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Prakash는 말라리아 검사에 사용되어야 하지만 쓰이지 않고 있는 고가의 현미경을 우연히 발견했다.
Malaria takes over half a million lives annually, so early diagnosis is crucial in preventing its spread.
말라리아는 매년 50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기 때문에 확산을 막으려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But then, why was the microscope sitting unused?
하지만 왜 현미경이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을까?
Prakash found that there were multiple reasons.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는 것을 Prakash는 알게 되었다.
The microscope was bulky and awkward to transport, required training to operate, and was difficult to maintain.
현미경은 부피가 커서 운반하기 불편하고, 작동하려면 교육이 필요하며, 유지 관리가 어려웠다.
As it was a delicate and expensive instrument, even trained lab workers felt nervous about using it.
현미경은 섬세하고 값비싼 장비였기 때문에 숙련된 실험실 직원조차도 현미경 사용에 부담을 느꼈다.
Prakash began wondering.
Prakash는 고민하기 시작했다.
A cheap, strong microscope could save thousands of lives.
저렴하고 튼튼한 현미경만 있으면 수천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After he returned to Stanford University, where he was a professor, he started to reflect on the idea.
교수로 재직 중이던 스탠퍼드 대학교로 돌아온 후, 그는 이 아이디어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기 시작했다.
It was not until he met Jim Cybulski that his idea of an affordable and accessible microscope began to take shape.
저렴하고 접근하기 쉬운 현미경에 대한 그의 아이디어는 Jim Cybulski를 만나고 나서야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A graduate student at Stanford, Cybulski was looking for ways to apply his engineering background to make a difference in the real world.
스탠퍼드 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Cybulski는 현실 세계에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자신의 공학적 배경을 적용할 방법을 찾고 있었다.
After hearing Prakash’s vision, Cybulski quickly recognized its potential and was eager to contribute.
Prakash의 비전을 듣고 난 후 Cybulski는 그 잠재력을 금방 알아차리고 기여하고 싶어 했다.
For a microscope to function properly, it must meet certain minimum requirements.
현미경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몇 가지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These include an eyepiece, a tube through which the viewer looks, and a lens for magnification.
여기에는 접안렌즈, 관찰자용 튜브, 배율용 렌즈가 포함된다.
The microscope must also have a component that can hold a specimen and move from side to side to explore different areas of the specimen.
현미경에는 또한 표본을 고정하고 좌우로 움직여 표본의 다른 영역을 탐색할 수 있는 부품이 있어야 한다.
Furthermore, a mechanism to bring the specimen into focus, usually accomplished by moving it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lens, is necessary.
게다가 일반적으로 표본을 렌즈에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이동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Finally, a light source is required to illuminate the specimen.
마지막으로 표본을 비추기 위한 광원이 필요하다.
An ideal microscope would be made with the best performing materials and mechanisms for each component.
이상적인 현미경은 각 부품에 최상의 성능을 내는 재료와 메커니즘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However, such a microscope would likely be enormously expensive.
하지만 그런 현미경은 엄청나게 비쌀 가능성이 높다.
On the other hand, a cheap microscope may not be able to deliver high performance.
반면에 저렴한 현미경은 높은 성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Prakash and Cybulski experimented with various designs and materials in order to find a suitable compromise.
Prakash와 Cybulski는 적절한 타협점을 찾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를 시험했다.
While many manufacturers might have settled for a middle ground between these two extremes, Prakash and Cybulski were determined to create a microscope that was both inexpensive and high-performing, while remaining accessible to all.
많은 제조업체가 이 두 가지 극단 사이의 절충안에 만족했을 수도 있지만, Prakash와 Cybulski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저렴하고 성능이 뛰어난 현미경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After drawing various designs on paper, Prakash and Cybulski realized that paper could be an excellent medium for their microscope.
종이에 다양한 디자인을 그려본 후, Prakash와 Cybulski는 종이가 현미경의 훌륭한 매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It was cheap, easy to cut and fold with precision, and widely available.
종이는 저렴하고, 정밀하게 자르고 접기 쉬우며, 어디서든 구할 수 있었다.
They faced many challenges during their attempts to develop the perfect design.
그들은 완벽한 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Ultimately, they settled on waterproof cardboard paper with a small glass ball lens and named their invention the Foldscope.
결국 그들은 작은 유리구슬 렌즈가 달린 방수 판지 종이를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발명품의 이름을 폴드스코프라고 지었다.
The Foldscope provides a magnification of 140 times, making it capable of examining blood cells, bacteria, and single-celled organisms.
폴드스코프는 140배의 배율을 제공하여 혈액 세포, 박테리아, 단세포 유기체를 검사할 수 있다.
It is incredibly portable, weighs just 8 grams, fits easily in a pocket, and requires no external power source.
그것은 휴대성이 뛰어나고, 무게가 8g에 불과해 주머니에 쉽게 넣을 수 있으며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Moreover, the Foldscope is built to last, capable of surviving a three-story fall.
게다가 폴드스코프는 3층에서 떨어져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제작되었다.
Its usefulness is further enhanced by its compatibility with phone cameras, allowing users to take pictures and record images of the specimen.
휴대폰 카메라와 호환되므로 사용자가 표본의 사진을 찍고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어 유용성이 더욱 향상된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ject a high-resolution image on a wall using the phone light.
휴대폰 조명을 사용하여 벽에 고해상도 이미지를 투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no surprise that over 1.8 million Foldscopes have been distributed in over 160 countries, making it an invaluable tool for scientists worldwide.
160여 개국에 180만 대 이상의 폴드스코프가 배포되어 전 세계 과학자들에게 귀중한 도구가 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The Foldscope has been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beyond malaria diagnosis.
폴드스코프는 말라리아 진단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In Nigeria, it has also been instrumental in detecting fake antimalarial drugs.
나이지리아에서는 가짜 말라리아 치료제를 탐지하는 데도 중요시되어 왔다.
The drugs are responsible for over 100,000 deaths annually in sub-Saharan Africa, mostly among children under five.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이 약으로 매년 1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는데, 대부분 5세 미만의 어린이들이다.
When crushed into powder and examined under a Foldscope, real drugs appear as uniform particles, while fake drugs appear as mere powder.
가루로 분쇄하여 폴드스코프로 검사하면 진짜 약은 균일한 입자로 나타나지만 가짜 약은 단순한 가루로 나타난다.
Furthermore, over 400 scientific papers have been published using Foldscope data, and around 1,200 projects are currently in progress in India.
뿐만 아니라, 폴드스코프 데이터를 사용하여 40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현재 인도에서는 약 1,200개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In the United States, Foldscope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have introduced many children to the wonders of science.
미국에서는 공공 도서관의 폴드스코프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경이로움을 소개했다.
If Prakash and Cybulski had given up on their idea of the Foldscope, these achievements could not have occurred.
Prakash와 Cybulski가 폴드스코프에 대한 아이디어를 포기했다면 이러한 성과는 일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As billions of people lack access to health care and thousands of preventable deaths occur, science is playing a crucial role in finding solutions to these challenges.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예방할 수 있는 사망자가 수천 명씩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학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Tools like the Foldscope, which make science accessible to everyone,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폴드스코프와 같은 도구들은 과학을 모든 사람에게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주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