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Korea, nearly anything can be delivered within twenty-four hours.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것이 24시간 이내에 배달될 수 있다.
Delivery is not limited to Korea;
배달은 한국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however, a unique culture has developed around the Korean delivery industry.
그러나, 독특한 문화가 한국 배달 산업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People in Korea can order whatever they want whenever they want and have it delivered wherever they want.
한국에 있는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는 때라면 언제든지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주문할 수 있고, 그들이 원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그것을 배달 받을 수 있다.
Delivery apps rank stores by various standards:
배달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준으로 상점들의 순위를 매긴다.
review scores, popularity, price, delivery fee, and distance, to name a few.
예를 들자면, 후기 점수, 인기, 가격, 배달료, 그리고 거리 등.
The speedy delivery of purchased items to your house is literally at the tips of your fingers.
구매한 물건이 당신의 집으로 빠르게 배달 되는 것은 말 그대로 당신 손가락 끝에 달려 있다.
What is the history behind this culture?
이 문화 이면의 역사는 무엇일까?
In 1768, Hwang Yun-seok, a scholar, made a diary entry after taking the gwageo, a public service entrance exam.
1768년에 학자인 황윤석은 관리 채용 시험인 과거에 응시한 후 일기 기록을 남겼다.
He wrote that he and his friends had ordered a delivery of naengmyeon for lunch.
그는 그와 그의 친구들이 점심 식사로 냉면 배달을 시켰다고 썼다.
Hwang’s diary is the first historical document indicating Koreans have been delivering food for at least two and a half centuries.
황윤석의 일기는 한국인들이 최소한 두 세기 반 동안 음식을 배달해 왔음을 보여 주는 최초의 역사적 기록물이다.
During the Joseon period, specialized people called jeonin delivered letters for a fee.
조선 시대 동안, 전인이라고 불리는 전문화된 사람들이 돈을 받고 편지를 배달했다.
In the days before the modern address systems, letters were delivered by name and place of residence, so a jeonin had to know the local areas like the back of his hand.
현대 주소 시스템이 있기 이전 시대에 편지는 이름과 거주지에 따라 배달되었으므로 전인은 해당 지역을 매우 잘 알고 있어야만 했다.
Service prices were determined by schedule and distance.
서비스 가격은 일정과 거리에 따라 결정되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oul’s streets were filled with delivery professionals called “messengers,” most working for a company named Yongdalsa.
일제 강점기 동안, 서울의 거리는 ‘메신저’라고 불리는 배달 전문인들로 가득 차 있었는데, 그들 대부분은 용달사라는 이름의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다.
Many used bikes to speed up delivery.
많은 이들이 배달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전거를 사용했다.
When customers contacted Yongdalsa, a messenger went to pick up the item and then delivered it.
고객들이 용달사에 연락을 취하면, 메신저가 물건을 가지러 와서는 그것을 배달했다.
Delivery mistakes were rare.
배달 실수는 드물었다.
Messengers were sometimes charged with carrying large bundles of cash, but they were unfailingly honest and accurate.
메신저들은 때때로 다량의 현금 배달을 담당하기도 했는데, 그들은 변함없이 정직하고 정확했다.
Customers trusted the messengers so much that they often did not check the items they received.
고객들은 메신저를 매우 믿었기에 종종 그들이 받은 물품을 확인하지도 않았다.
This messenger service was unique to Korea and was based on a culture of mutual trust and a hunger for speed.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한국만의 독특한 것이었으며, 상호 간의 신뢰 문화와 속도에 대한 갈망에 기반한 것이었다.
It is possible that this paved the way for modern motorcycle deli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