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a lot of things that fill us with hope for the future: technology, science, accountable leader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committed to doing good.
우리를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채우는 많은 것들이 있다: 기술, 과학, 책임감 있는 지도자들, 그리고 선을 행하는 데 전념하는 비영리 단체들.
However, few things give us more hope for the future than young people.
그러나 젊은이들보다 우리에게 미래에 대한 더 많은 희망을 주는 것들은 거의 없다.
Some young people are already working toward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eir communities and the world are facing.
일부 젊은이들은 이미 그들의 공동체와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향해 노력하고 있다.
Let’s look at three inspirational examples of these young people.
이 젊은이들의 세 가지 영감을 주는 예들을 살펴보자.
Combating Online Hate with ReThink
ReThink로 온라인 혐오와 맞서기
Trisha Prabhu, a young computer scientist from the U.S., is fighting cyberbullying with her innovative application ReThink.
미국의 젊은 컴퓨터 과학자인 트리샤 프라부는 그녀의 혁신적인 애플리케이션인 ReThink로 사이버 폭력과 싸우고 있다.
ReThink is a virtual keyboard that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tect potentially hurtful text messages before they are sent and prompts young people to pause and reconsider their words.
ReThink는 인공 지능을 사용하여 잠재적으로 상처를 주는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기 전에 그것들을 감지하고 젊은이들이 잠시 멈추고 그들의 말을 재고하도록 촉구하는 가상 키보드이다.
When a user types a message that contains potentially offensive language, such as “I hate you,” ReThink prompts:
사용자가 “미워.”와 같은 잠재적으로 공격적인 언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할 때 ReThink는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표시한다:
“Hold on! Are you sure you want to say that?” or “Remember. You are what you type!”
“잠깐만요! 정말 그렇게 말하고 싶나요?” 또는 “기억하세요. 당신은 당신이 입력한 것입니다!”
In 2014, when Trisha was just thirteen years old, she read the tragic news of a twelve-year-old girl who had been cyberbullied for over a year and a half.
2014년, 트리샤가 겨우 열세 살이었던 때 그녀는 일 년 반 이상 사이버 폭력을 당했던 열두 살 소녀의 비극적인 뉴스를 읽었다.
Shocked at the story, she decided to prevent cyberbullying by using technology and created ReThink.
그 이야기에 충격을 받고 그녀는 기술을 사용하여 사이버 폭력을 막기로 결심하고 ReThink를 만들었다.
ReThink has been used by schools and organizations worldwide and has successfully raised awareness on cyberbullying.
ReThink는 전 세계의 학교와 단체에 의해 사용되어 왔고 성공적으로 사이버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It has helped young people make better decisions in digital space where people could easily be unkind toward each other.
그것은 사람들이 서로에게 쉽사리 불친절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에서 젊은이들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왔다.
In fact, it has been found that when using ReThink, adolescents change their minds 93% of the time and decide not to post offensive messages.
실제로 ReThink를 사용할 때 청소년들은 93%의 경우 마음을 바꾸고 공격적인 메시지를 게시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Inventing with Discarded Electronic Parts
버려진 전자 부품으로 발명하기
Kelvin Doe, a self-taught inventor and engineer from Sierra Leone, has been fascinated with electronics since childhood.
시에라리온 출신의 독학한 발명가이자 공학자인 켈빈 도는 어린 시절부터 전자 기기에 매료되어 왔다.
He would often do experiments with discarded electronics he found in trash cans to create his own inventions.
그는 종종 자신의 발명품을 만들기 위해 쓰레기통에서 발견한 버려진 전자 기기로 실험을 하곤 했다.
In 2009, at the young age of thirteen, Kelvin built his own FM radio station by using a transmitter he made from discarded electronic parts.
2009년, 열세 살의 어린 나이에, 켈빈은 버려진 전자 부품으로 만든 송신기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FM 라디오 방송국을 만들었다.
In 2014, during the time when an Ebola outbreak affected Africa, Kelvin’s radio station proved to be invaluable.
2014년, 에볼라 발병이 아프리카에 영향을 미쳤던 시기에, 켈빈의 라디오 방송국은 귀중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With schools closed, his radio station provided educational programs to students over the radio.
학교가 문을 닫은 가운데, 그의 라디오 방송국은 학생들에게 라디오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This was especially important in his country, where the radio was the main source of media.
이것은 라디오가 미디어의 주요 공급원이었던 그의 나라에서 특히 중요했다.
Kelvin also improved the lives of people around him by providing affordable resources.
켈빈은 또한 적당한 가격의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그의 주변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켰다.
He invented a battery capable of powering homes and small businesses, designed a generator that runs on salt water, and constructed a windmill to supply electricity to his community.
그는 가정과 소규모 사업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발명했고, 소금물로 작동하는 발전기를 설계했으며, 그의 지역 사회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풍차를 건설했다.
Helping Homeless People Rebuild Their Lives
노숙자들의 삶의 재건을 돕기
John Michael Stagliano is a young social activist from the U.S. who founded Home Again in 2016.
존 마이클 스타글리아노는 2016년 Home Again을 설립한 미국 출신의 젊은 사회 활동가이다.
It is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offers furniture and household essentials to families and individuals transitioning from homelessness to stable housing.
그것은 노숙에서 안정적인 주거로 전환하는 가족과 개인에게 가구와 가정 필수품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He says, “For people who have lived in their cars, in and out of shelters, and in the woods, to be home again is a triumph, a sense of peace, and something to be celebrated.”
그는 “그들의 차 안에서, 쉼터를 오가며, 그리고 숲에서 생활해 온 사람들에게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것은 승리이며, 평화로움이며, 축하할 일입니다.”라고 말한다.
John’s journey began in 2015.
존의 여정은 2015년에 시작되었다.
At the age of twelve, he volunteered at a local shelter where people in need were staying.
열두 살 때 그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머물고 있는 지역 쉼터에서 자원봉사를 했다.
He learned that many of the shelter residents worked hard to rent houses and trailers but faced difficulties in furnishing their new homes upon moving in.
그는 쉼터 거주자 중 많은 사람들이 집과 트레일러를 빌리려고 열심히 일하지만 이사를 하자마자 새 집을 가구로 꾸미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prompted John to decide to do something for those transitioning out of homelessness.
이것은 존이 노숙 생활에서 벗어나는 사람들을 위해 무언가를 하기로 결심하게 했다.
Needing donations to gather essential items to help them, John reached out to his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그들을 돕기 위한 필수 물품을 모으기 위해 기부가 필요했기에 존은 가족, 친구, 이웃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As word of his efforts spread, donations began to rush in.
그의 노력에 대한 소문이 퍼지면서 기부가 쇄도하기 시작했다.
So John was able to help more people get settled.
그래서 존은 더 많은 사람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었다.
He said, “I never knew the impact that a simple couch or a kitchen table could have.
그는 말했다, “저는 단순한 소파나 식탁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전혀 몰랐습니다.
Furniture can restore the dignity of a family.”
가구는 가족의 존엄성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Trisha Prabhu, Kelvin Doe, and John Michael Stagliano are all examples of young social activists who hav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society.
트리샤 프라부, 켈빈 도, 존 마이클 스타글리아노는 모두 사회에 상당한 공헌을 한 젊은 사회 활동가의 예이다.
Their innovative efforts to solve social problems demonstrate the power of technology, commitment, and individual initiative.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들의 혁신적인 노력은 기술, 헌신, 개인 주도성의 힘을 보여 준다.
Their stories serve as an inspiration for young people around the world to pursue their passions and make a difference in their communities.
그들의 이야기는 전 세계 젊은이들이 자신의 열정을 추구하고 공동체에 변화를 일으키는 데 영감을 준다.
As young innovators and social activists keep appearing, they will undoubtedly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젊은 혁신가들과 사회 활동가들이 계속 등장하므로, 그들은 틀림없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것이다.
K-Delivery, Speedy and Reliable
K-배달, 신속하고 믿음직하다
In Korea, nearly anything can be delivered within twenty-four hours.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것이 24시간 이내에 배달될 수 있다.
Delivery is not limited to Korea;
배달은 한국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however, a unique culture has developed around the Korean delivery industry.
그러나, 독특한 문화가 한국 배달 산업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People in Korea can order whatever they want whenever they want and have it delivered wherever they want.
한국에 있는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는 때라면 언제든지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주문할 수 있고, 그들이 원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그것을 배달 받을 수 있다.
Delivery apps rank stores by various standards:
배달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준으로 상점들의 순위를 매긴다.
review scores, popularity, price, delivery fee, and distance, to name a few.
예를 들자면, 후기 점수, 인기, 가격, 배달료, 그리고 거리 등.
The speedy delivery of purchased items to your house is literally at the tips of your fingers.
구매한 물건이 당신의 집으로 빠르게 배달 되는 것은 말 그대로 당신 손가락 끝에 달려 있다.
What is the history behind this culture?
이 문화 이면의 역사는 무엇일까?
In 1768, Hwang Yun-seok, a scholar, made a diary entry after taking the gwageo, a public service entrance exam.
1768년에 학자인 황윤석은 관리 채용 시험인 과거에 응시한 후 일기 기록을 남겼다.
He wrote that he and his friends had ordered a delivery of naengmyeon for lunch.
그는 그와 그의 친구들이 점심 식사로 냉면 배달을 시켰다고 썼다.
Hwang’s diary is the first historical document indicating Koreans have been delivering food for at least two and a half centuries.
황윤석의 일기는 한국인들이 최소한 두 세기 반 동안 음식을 배달해 왔음을 보여 주는 최초의 역사적 기록물이다.
During the Joseon period, specialized people called jeonin delivered letters for a fee.
조선 시대 동안, 전인이라고 불리는 전문화된 사람들이 돈을 받고 편지를 배달했다.
In the days before the modern address systems, letters were delivered by name and place of residence, so a jeonin had to know the local areas like the back of his hand.
현대 주소 시스템이 있기 이전 시대에 편지는 이름과 거주지에 따라 배달되었으므로 전인은 해당 지역을 매우 잘 알고 있어야만 했다.
Service prices were determined by schedule and distance.
서비스 가격은 일정과 거리에 따라 결정되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oul’s streets were filled with delivery professionals called “messengers,” most working for a company named Yongdalsa.
일제 강점기 동안, 서울의 거리는 ‘메신저’라고 불리는 배달 전문인들로 가득 차 있었는데, 그들 대부분은 용달사라는 이름의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다.
Many used bikes to speed up delivery.
많은 이들이 배달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전거를 사용했다.
When customers contacted Yongdalsa, a messenger went to pick up the item and then delivered it.
고객들이 용달사에 연락을 취하면, 메신저가 물건을 가지러 와서는 그것을 배달했다.
Delivery mistakes were rare.
배달 실수는 드물었다.
Messengers were sometimes charged with carrying large bundles of cash, but they were unfailingly honest and accurate.
메신저들은 때때로 다량의 현금 배달을 담당하기도 했는데, 그들은 변함없이 정직하고 정확했다.
Customers trusted the messengers so much that they often did not check the items they received.
고객들은 메신저를 매우 믿었기에 종종 그들이 받은 물품을 확인하지도 않았다.
This messenger service was unique to Korea and was based on a culture of mutual trust and a hunger for speed.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한국만의 독특한 것이었으며, 상호 간의 신뢰 문화와 속도에 대한 갈망에 기반한 것이었다.
It is possible that this paved the way for modern motorcycle delivery.
이것이 현대의 오토바이 배달의 토대를 닦았을 가능성이 있다.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 it was divided into two.
식민지 지배에서 한국이 해방된 후, 한국은 둘로 나뉘었다.
Then came the Korean War (1950-1953).
그리고는 한국 전쟁(1950-1953)이 발발했다.
During this series of upheavals, Korea’s delivery system fell apart.
이 일련의 격변 동안, 한국의 배달 시스템은 무너졌다.
It was during the 1960s that delivery services grew again thanks to urbanization.
도시화 덕분에 배달 산업이 다시 성장한 것은 1960년대 동안이었다.
As economic development progressed, people flocked to urban areas, where labor became concentrated.
경제 발전이 진행됨에 따라, 사람들은 노동력이 집중되는 도시 지역으로 모여들었다.
This boosted the demand for delivery services.
이것이 배달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촉진 시켰다.
Deliveries of newspapers and milk quickly became popular.
신문과 우유 배달이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During lunchtime, city centers were filled with restaurant workers delivering trays full of food,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점심시간 동안, 도시 중심부는 음식이 가득 찬 차곡차곡 쌓아 올려진 쟁반을 배달하는 식당 직원들로 가득 찼다.
In the late 1980s and 1990s, caterers delivered homemade lunches in cloth bags to urban offices and returned later to collect empty dishes.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에는, 음식 공급자들이 보자기에 싼 집에서 만든 점심을 도시의 사무실로 배달하였고 나중에 빈 그릇을 가져가기 위해 돌아왔다.
The delivery area grew rapidly.
배달 영역은 빠르게 성장했다.
In 1992, taekbae service, an express home delivery service through which a person receives an ordered item in at least a day or two was introduced.
1992년에는 주문한 물건을 최소 하루 또는 이틀 안에 받을 수 있는 신속 가정배달 서비스인 택배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On the first day, there were just two deliveries.
첫날에는 고작 두 건의 배달이 있었다.
Now, millions of items are delivered daily.
이제 매일 수백만 개의 물건들이 배달된다.
On average, a South Korean uses taekbae sixty-five times per year.
평균적으로 한국인 한 명은 택배를 연간 65번 이용한다.
It w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at enabled the remarkable growth of taekbae.
택배의 놀랄 만한 성장을 가능하게 해 준 것은 바로 디지털과 정보 기술의 발전이었다.
Logistics automation, GPS maps, and mobile applications have extended the range and scale of delivery services while keeping prices reasonable.
물류 자동화, GPS 지도, 그리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가격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배달의 범위와 규모를 넓혀 주었다.
The phenomenal growth of e-commerce has driven the need for delivery services.
전자상거래의 놀랄 만한 성장이 배달 서비스의 필요를 이끌어 왔다.
A rule of thumb for taekbae is next-day delivery;
택배의 원칙은 익일 배송이다.
if a person orders something today, it should arrive tomorrow.
누군가 오늘 무언가를 주문하면 내일 도착해야 한다.
Taekbae is changing so rapidly that now more and more items are delivered on the same day they are ordered.
택배는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이제는 점점 더 많은 물품들이 그것들이 주문된 당일에 배달되고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choose a specific date and time for delivery.
또한, 배송을 위한 특정 날짜와 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Taekbae services, beginning from foot-powered delivery, have grown by leaps and bounds thanks to advancements in technology.
발로 움직이는 배달에서 시작한 이래로, 택배 서비스는 기술의 발전 덕분에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Moreover, the services will likely be developed further due to continuing technological upheavals.
게다가 계속되는 기술적 격변으로 인해 이 서비스는 더 발달할 것 같다.
Drones and autonomous robots are being used to deliver items by logistics companies in foreign countries.
외국에서는 드론과 자동화 로봇들이 물류 회사에 의해 물건을 배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In Korea, companies are t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advanced equipment such as autonomous vehicles, delivery robots, and drones for deliveries.
한국에서는 기업들이 자율 주행차, 배달 로봇, 그리고 드론과 같은 진보한 장비를 배달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험해 보고 있다.
It is fair to say that modern Korean life cannot function as it does without its delivery services.
현대 한국의 삶은 배달 서비스 없이는 지금처럼 기능할 수 없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To maintain trust with customers, the Korean delivery industry prioritizes rapid, safe, and affordable transportation.
고객들과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한국 배달 산업은 빠르고, 안전하고, 적절한 가격의 운송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
These persistent efforts for reliability and the adoption of advanced delivery technology will continue being the driving forces that will move Korean delivery forward well into the future.
이러한 신뢰를 위한 꾸준한 노력과 진보한 배달 기술의 도입은 한국 배달을 미래로 훨씬 나아가게 할 원동력이 될 것이다.
Katherine Johnson, a “Computer” Who Looked Beyond Numbers
숫자 너머를 본 ‘컴퓨터’ 캐서린 존슨
Katherine Johnson was born on August 26, 1918, in West Virginia, in the U.S., and was the youngest of four children in a black family.
캐서린 존슨은 1918년 8월 26일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에서 태어났으며 흑인 가정의 사 남매 중 막내였다.
Katherine was a math prodigy from early childhood.
캐서린은 어릴 때부터 수학 영재였다.
Reflecting on her youth, Katherine once said, “I counted everything—the steps to the road, the steps up to church, the number of dishes, spoons, and forks I washed.”
캐서린은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서 “저는 도로로 가는 계단, 교회로 올라가는 계단, 내가 씻은 접시, 숟가락, 포크의 수 등 모든 것을 세었습니다.”라고 말했다.
She excitedly added, “I couldn’t wait to get to high school to take algebra and geometry.”
그녀는 신이 나서 “저는 대수학과 기하학을 배우기 위해 하루빨리 고등학교에 가고 싶었어요.”라고 덧붙였다.
But Katherine’s hometown had a segregated education system, and black students could not enter high school.
그러나 캐서린의 고향은 인종 차별적인 교육 제도를 갖고 있었고 흑인 학생들은 고등학교에 입학할 수 없었다.
So her father moved the family 200 kilometers away so that she could enter high school.
그래서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고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가족과 함께 2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으로 이사했다.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1932, she was admitted to a black college at the age of fifteen.
그녀는 1932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5세에 흑인 대학에 입학했다.
By her junior year, she had taken all the math courses the college could offer.
3학년 때 그녀는 대학에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수학 과정을 수강했다.
Her mentor gladly offered special classes just for her, but he was not happy when he had to tell his outstanding student about her career opportunities.
그녀의 멘토는 기꺼이 그녀만을 위한 특별 수업을 제공했지만 그는 그의 뛰어난 학생에게 그녀의 직업 기회에 대해 이야기해야만 했을 때 기쁘지 않았다.
“You would make a good research mathematician,” he told his seventeen-year-old student,
“너는 훌륭한 연구 수학자가 될 거야,” 그는 그의 17세 학생에게 말했다,
“and I’m going to prepare you for this career.”
그리고 나는 네가 이 직업을 준비할 수 있게 해 줄 거야.”라고
Katherine asked, “Where will I find a job?”
캐서린은 “저는 어디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까요?”라고 물었다.
“That,” he replied, “will be your problem.”
“그게” 그는 대답했다, “너의 문제가 되겠지.”
The path ahead was unclear and full of obstacles, but Katherine knew she had the strength to make her own way.
앞으로의 길은 불분명하고 장애물로 가득 차 있었지만 캐서린은 자신의 길을 헤쳐 나갈 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In 1935, at the age of eighteen, Katherine graduated from college with highest honors and began her career as a teacher at a black public school.
1935년, 18세에 캐서린은 최고의 성적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흑인 공립 학교에서 교사로 경력을 시작했다.
At that time, teaching was the only option available to her.
가르치는 일은 그 당시 그녀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이었다.
It was not until 1953 that Katherine found a job at a NASA field center in Virginia.
1953년이 되어서야 캐서린은 버지니아에 있는 NASA 필드 센터에서 일자리를 찾았다.
There, she worked as one of the “Black computers” who did complex calculations manually to support white male engineers.
그곳에서 그녀는 백인 남성 엔지니어를 지원하기 위해 복잡한 계산을 수동으로 수행하는 ‘흑인 컴퓨터’ 중 한 명으로 일했다.
Though they greatly contributed to the space project, they endured a lot of discrimination, including segregation in the office and being referred to with terms like “girl” despite being professional women.
그들은 우주 프로젝트에 크게 기여했지만, 사무실에서 인종 차별을 당하고 전문직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여자애’라는 말로 불리는 등 많은 차별을 견뎌냈다.
Two weeks into the job, Katherine was reassigned to NASA’s elite space research division.
입사 2주 만에 캐서린은 NASA의 엘리트 우주 연구 부서로 재배치되었다.
There, she was the only black female member of the staff.
그곳에서 그녀는 직원 중 유일한 흑인 여성이었다.
Despite her enormous contributions, the important research meetings were held only among white staff members.
그녀의 엄청난 공헌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연구 회의는 백인 직원들 사이에서만 열렸다.
When she asked for permission to attend the meetings, her male colleagues said that “the girls” didn’t usually go.
그녀가 회의에 참석하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 그녀의 남성 동료들은 ‘여자애들’은 보통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Katherine asked, “Is there a law that says I can’t go?”
“갈 수 없다는 법이 있나요?”라고 캐서린은 물었다.
The embarrassed male workers had no choice but to let her in.
당황한 남성 직원들은 그녀를 들여보낼 수밖에 없었다.
By asking questions no one had ever asked, Katherine ended a discriminatory custom.
누구도 묻지 않았던 질문을 함으로써 캐서린은 차별적인 관습을 끝냈다.
She had faced barriers, but her efforts to overcome them paid off.
그녀는 장벽에 직면했지만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She felt proud and continued her work with courage.
그녀는 자부심을 느꼈으며 용기를 갖고 일을 계속 해 나아갔다.
In 1960, she wrote a research paper with another engineer about how to place a spacecraft into orbit.
1960년에 그녀는 다른 엔지니어와 함께 우주선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방법에 관한 연구 논문을 썼다.
That was the first time a woman in her division received credit as an author of a research report.
그녀의 부서에서 여성이 연구 보고서의 저자로 인정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Katherine’s remarkable calculations by hand were trusted more than digital computers.
캐서린의 놀라운 수동 계산은 디지털 컴퓨터보다 더 신뢰를 받았다.
In early 1962, John Glenn, one of the pioneering American astronauts, was preparing to orbit the Earth for the first time in American history.
1962년 초, 미국의 선구적인 우주 비행사 중 한 명인 존 글렌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지구 궤도를 돌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NASA used an electronic computer, first introduced into the space program a year earlier, to calculate the spaceship’s trajectory, but it made many minor errors.
NASA는 우주선의 궤적을 계산하기 위해 1년 전 우주 프로그램에 처음 도입된 전자 컴퓨터를 사용했지만 그것은 사소한 오류를 많이 만들어 냈다.
Glenn, who was concerned about its accuracy, asked Katherine Johnson to double-check the machine’s figures by hand.
글렌은 그것의 정확도를 걱정했고, 캐서린 존슨에게 기계의 수치를 수동으로 다시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If she says the numbers are good,” he said, “I’m good to go.”
“그녀가 숫자가 맞다고 하면,” 그는 말했다, 나는 갈 준비가 됐어요.”라고
Using only a pencil and a slide rule, Katherine spent a day and a half checking the calculations and finally made sure of them.
연필과 계산자만을 사용하여 캐서린은 하루 반 동안 계산값을 확인했고 마침내 확신했다.
Eventually, Glenn became the first American astronaut to orbit the Earth.
결국 글렌은 지구 궤도를 선회한 최초의 미국 우주 비행사가 되었다.
Katherine was also part of the team that performed calculations for Apollo 11, which sent the first three men to the Moon in 1969, and even the plan to put people on Mars, which is still being worked on today.
캐서린은 또한 1969년에 처음으로 세 사람을 달에 보냈던 아폴로 11호와 오늘날에도 여전히 진행 중인 화성에 사람을 보내려는 계획을 위해 계산을 수행하는 팀의 일원이었다.
Katherine retired in 1986 after thirty-three years at NASA.
캐서린은 NASA에서 33년을 근무한 후 1986년에 은퇴했다.
After that, she dedicated the rest of her life to championing access to STEM education for Black girls.
그 후 그녀는 흑인 소녀들이 STEM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옹호하는 데 여생을 바쳤다.
For her contributions, President Barack Obama awarded her the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in 2015 and said,
그녀의 공헌에 대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15년에 그녀에게 대통령 자유 훈장을 수여하며 말했다,
“Katherine G. Johnson refused to be limited by society’s expectations of her gender and race while expanding the boundaries of humanity’s reach.”
“캐서린 G. 존슨은 인류의 영역을 확장하면서 자신의 성별과 인종에 대한 사회의 기대에 얽매이지 않았습니다.”라고
In 2017, NASA dedicated a building in her honor in Virginia and named it the Katherine G. Johnson Computational Research Facility.
2017년 NASA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버지니아에 건물을 헌정하고 캐서린 G. 존슨 컴퓨터 연구 시설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She died on February 24, 2020, at the age of 101, but her pioneering legacy will never be forgotten.
그녀는 2020년 2월 24일 10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그녀의 선구적인 유산은 결코 잊히지 않을 것이다.
Klara and the Sun by Kazuo Ishiguro
클라라와 태양
Klara is an AF (Artificial Friend), a companion robot for children.
클라라는 아이들을 위한 반려 로봇인 AF(인공 친구)이다.
She is solar-powered.
그녀는 태양열로 구동된다.
She stays healthy when she gets the Sun’s nourishment but feels weak and lifeless without sunlight.
그녀는 태양의 영양분을 받으면 건강을 유지하지만 햇빛이 없으면 약하고 생명력이 없는 느낌을 받는다.
At the robot store, she enjoyed taking in the outside world from the windows.
로봇 매장에서 그녀는 창문을 통해 바깥세상을 이해하는 것을 즐겼다.
Klara closely observed what she saw, hoping to learn everything necessary to be a caring and helpful AF.
클라라는 배려하고 도움이 되는 AF가 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배우기를 희망하면서 자신이 본 것을 면밀히 관찰했다.
One evening, she discovered that a homeless man was lying on the street without moving.
어느 날 저녁, 그녀는 한 노숙자가 꼼짝도 하지 않고 거리에 누워 있는 것을 발견했다.
Klara was sad as she believed he had died.
클라라는 그가 죽었다고 믿었기 때문에 슬퍼했다.
But the next morning when the Sun was shining, she was surprised to see that the homeless man was sitting up and stroking his dog.
그러나 태양이 빛나던 다음 날 아침, 그녀는 노숙자가 일어나 앉아서 개를 쓰다듬고 있는 것을 보고 놀랐다.
Klara believed the Sun had saved him and came to have strong faith in the Sun’s power to restore everything.
클라라는 태양이 그를 구해 주었다고 믿었고 모든 것을 회복시키는 태양의 힘에 대한 강한 믿음을 갖게 되었다.
One day, a fourteen-year-old girl named Josie visited the shop with her mother, Chrissie.
어느 날, 조시라는 열네 살 소녀가 어머니 크리시와 함께 가게를 방문했다.
Josie chatted with Klara joyfully.
조시는 클라라와 즐겁게 이야기를 나눴다.
Josie immediately took a liking to Klara and asked whether Klara wanted to be her friend.
조시는 즉시 클라라를 마음에 들어 했고 클라라에게 그녀의 친구가 되고 싶은지 물었다.
(Josie) I really want you to come to my home.
(조시) 네가 우리 집에 꼭 와 줬으면 좋겠어.
I think you’ll like my room, and we’ll see the beautiful sunset from the windows there.
내 방을 좋아할 것 같고, 우리는 거기 창문으로 아름다운 일몰을 볼 수 있을 거야.
We can do all the great things together all the time while I’m growing up.
우리는 내가 자라는 동안 모든 멋진 일들을 항상 함께 할 수 있어.
You want to come, right?
너도 오고 싶지?
(Klara) nodding hopefully
(클라라) 희망에 차 고개를 끄덕인다
(Josie) That’s so good, but I want to be honest with you.
(조시) 정말 잘됐지만 나는 너에게 솔직하고 싶어.
I know how bad you’ll feel after people promise you perfect things and they turn out not to be so.
사람들이 너에게 완벽한 것을 약속하고 그것이 그렇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면 기분이 얼마나 나쁠지 알아.
Some days I’m not so healthy or happy.
나는 어떤 날은 그렇게 건강하지도 행복하지도 않아.
I do not know why. Do you still want to come, Klara?
왜 그런지 모르겠어. 그래도 여전히 오고 싶니, 클라라?
(Klara) If there’s anything difficult or scary, we will face it together.
(클라라) 힘들거나 무서운 일이 있으면 우리는 함께 이겨낼 거야.
To show that she would do her best to be Josie’s friend, Klara held her hands together and shook them slightly.
조시의 친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클라라는 두 손을 모으고 가볍게 흔들었다.
Pleased by Klara’s gesture of friendship, Josie asked Chrissie for her permission to buy the AF.
클라라의 우정의 몸짓에 기뻐하며 조시는 크리시에게 AF 구입을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Chrissie asked Klara what she had observed about Josie, and found Klara to be highly observant.
크리시는 클라라에게 조시에 대해 무엇을 관찰했는지 물었고 클라라가 관찰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After requesting that Klara continue to care about Josie, Chrissie agreed to buy Klara and took her home.
클라라가 조시에게 계속 관심을 가질 것을 요청한 후 크리시는 클라라를 구입하는 것에 동의하고 그녀를 집으로 데려갔다.
In Josie’s country home, Klara found out that Josie had gone through a procedure known as “lifting.”
조시의 시골집에서 클라라는 조시가 ‘리프팅’이라는 절차를 겪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By being lifted, Josie’s cognitive abilities had been genetically enhanced so that she had a better chance of getting into prestigious universities.
리프팅을 받음으로써 그녀가 명망 높은 대학에 입학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도록 조시의 인지 능력은 유전적으로 향상되었다.
However, Josie was suffering from serious side effects similar to those that had claimed the life of her sister, Sal.
그러나 조시는 언니인 샐의 목숨을 앗아간 것과 비슷한 심각한 부작용을 겪고 있었다.
A mysterious chronic illness often caused her to stay in bed for days on end.
알 수 없는 만성 질환은 종종 그녀가 며칠 동안 침대에 누워 있게 만들었다.
Because of this, Josie spent most of her time at home and was being educated there.
이 때문에 조시는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냈고 그곳에서 교육을 받고 있었다.
One day when Josie felt better, her mother took her and Klara to the city so that Josie could have her portrait done by Mr. Capaldi.
조시의 상태가 나아진 어느 날, 그녀의 어머니는 조시의 초상화 작업이 카팔디 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녀와 클라라를 도시로 데려갔다.
In Capaldi’s studio, Klara was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bout Josie.
카팔디의 스튜디오에서 클라라는 조시에 관한 설문지에 답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Looking around the studio after completing the questionnaire, Klara entered Capaldi’s office.
설문지를 작성한 뒤 스튜디오를 둘러보다가 클라라는 카팔디의 사무실로 들어섰다.
To her surprise, she saw something that looked like Josie suspended in the air
놀랍게도, 그녀는 공중에 매달린 조시처럼 생긴 무언가를 보았다.
- it was an AF replica of Josie’s body!
- 그것은 조시 몸의 AF 복제품이었다!
As it turned out, Mr. Capaldi was not a painter but a scientist, who planned with Chrissie to transfer Klara’s consciousness to the replica and make a new Josie if the real Josie were to die.
알고 보니 카팔디 씨는 화가가 아니라 과학자였고, 그는 혹시나 진짜 조시가 죽게 된다면 클라라의 의식을 복제품에 옮겨 새로운 조시를 만들기로 크리시와 함께 계획을 세웠다.
(Capaldi) Klara, tell me what you think about the replica.
(카팔디) 클라라, 복제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해 줘.
(Klara) It resembles Josie quite accurately.
(클라라) 조시를 꽤 정확하게 닮았어요.
Mr. Capaldi, you have done a good job of capturing Josie’s appearance.
카팔디 씨, 조시의 모습을 잘 담아내셨네요.
I now understand why Chrissie asked me, at every step, to observe and learn Josie.
저는 이제 왜 크리시가 저에게 모든 단계에서 조시를 관찰하고 배우라고 요청했는지 알겠어요.
The survey seems to test how well I have come to know Josie and how well I understand her decisions and feelings.
이 설문 조사는 제가 조시를 얼마나 잘 알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녀의 결정과 감정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 테스트하는 것 같군요.
(Capaldi) We will ask you to become her and to live in that replica of Josie with everything you have learned.
(카팔디) 우리는 너에게 그녀가 되어 네가 배운 모든 것을 가지고 조시의 복제품 안에서 살아가라고 부탁할 거야.
Learn Josie, not just superficially, but deeply, entirely.
피상적으로 뿐만 아니라 깊이, 완전히 조시를 배우도록 해.
You have to continue her for Chrissie and for everyone else who loves Josie.
크리시와 조시를 사랑하는 다른 모든 사람들을 위해 그녀를 이어가야만 해.
(Chrissie) I have doubts.
(크리시) 의구심이 들어요.
I’m still not sure if this whole plan is the best thing we can do.
이 계획 전체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인지 아직도 모르겠어요.
I have been afraid of losing Josie ever since I lost Sal.
나는 샐을 잃은 이후로 줄곧 조시를 잃을까 봐 두려워했어요.
That is why I agreed with you on this replica, but however well you make it, I don’t think I will be able to accept this AF as my Josie.
그게 바로 제가 이 복제품에 대해 당신에게 동의한 이유지만 당신이 아무리 그것을 잘 만든다고 해도 나는 이 AF를 나의 조시로 받아들일 수 없을 것 같아요.
(Capaldi) You must not lose faith, Chrissie.
(카팔디) 믿음을 잃어서는 안 됩니다, 크리시.
The survey Klara has successfully completed is clear evidence that she is already well on her way to understanding all of Josie’s drives and desires.
클라라가 성공적으로 완료한 설문 조사는 그녀가 이미 조시의 모든 충동과 욕구를 잘 이해하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예요.
You believe that there is something unreachable inside each of us, something that is unique and won’t transfer.
당신은 우리 각자의 내면에 닿을 수 없는 무언가, 독특하고 옮겨지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고 믿죠.
But there is nothing like that.
하지만 그런 건 없습니다.
The new Josie won’t be an imitation.
새로운 조시는 모조품이 아니에요.
She will be the exact same person and you will have every right to love her just as you love Josie now.
그녀는 정확히 같은 사람이 될 것이고 당신은 지금 조시를 사랑하는 것처럼 그녀를 사랑할 모든 권리를 갖게 될 거예요.
(Chrissie) But will I believe in it? When the day comes, will I really?
(크리시) 하지만 내가 그걸 믿게 될까요? 그날이 오면 정말 그렇게 될까요?
(Klara) Excuse me, but I would like to say there is a chance you will never need the new Josie.
(클라라) 죄송하지만, 새로운 조시가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She may overcome her illness.
그녀는 질병을 이겨 낼지도 몰라요.
If the day comes when you do need the new Josie, I will do my best to become as close to her as possible.
만약 당신에게 정말로 새로운 조시가 필요한 날이 오면, 나는 가능한 한 그녀와 가까워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거예요.
However, it is wrong to give up hope already.
그러나 벌써 희망을 포기하는 것은 잘못됐어요.
Josie’s health took a turn for the worse after she returned from the city.
도시에서 돌아온 후 조시의 건강은 더욱 악화되었다.
This made Klara determined to do everything she could for Josie.
이는 클라라로 하여금 조시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기로 결심하도록 만들었다.
Klara remembered the barn into which the Sun had disappeared when she and Josie had been watching the sunset in Josie’s room.
클라라는 조시와 함께 조시의 방에서 일몰을 바라봤을 때 태양이 사라졌던 헛간을 기억했다.
Believing it to be the Sun’s resting place, Klara visited there to pray to the Sun for Josie’s recovery.
클라라는 그곳이 태양이 쉬는 곳이라고 믿었기에 조시의 회복을 위해 태양에게 기도하려고 그곳을 방문했다.
Klara: You must be so tired, and I’m very sorry to disturb you, but I have come here this evening to ask a special favor.
(클라라) 많이 피곤하시죠, 방해해서 정말 죄송하지만 오늘 저녁 특별한 부탁을 드리려고 여기 왔어요.
I have never forgotten how strong your power to restore everything is.
저는 모든 것을 회복시키는 당신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지 한 번도 잊은 적이 없어요.
Josie is becoming weaker and weaker each day.
조시는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약해지고 있어요.
Please send Josie the special nourishment she so desperately requires as you did that day to the homeless man.
그날 노숙자에게 했던 것처럼 조시가 절실히 필요로 하는 특별한 영양분을 보내 주세요.
The Sun was then sinking into the ground, but Klara could tell he was smiling at her as he went down for his nightly rest.
태양은 땅속으로 가라앉고 있었지만 클라라는 그가 밤의 휴식을 위해 내려가면서 그녀에게 미소를 짓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ut of gratitude and respect, Klara continued to look at the Sun until his last light vanished into the ground.
감사와 존경심에 클라라는 태양의 마지막 빛이 땅 속으로 사라질 때까지 계속해서 태양을 바라보았다.
After several rainy days, the Sun came out to shine light on Josie and her whole bed.
며칠간 비가 내린 후, 태양이 나와서 조시와 그녀의 침대 전체를 밝게 비췄다.
Josie woke up and made a miraculous recovery.
조시는 잠에서 깨어나 기적적으로 회복했다.
Seasons and years went by, and she grew into a healthy adult.
계절과 세월이 흘렀고 그녀는 건강한 어른으로 성장했다.
When Josie left for college, Klara was sent to the Yard, a place where old AFs spend their remaining days at the end of their lives.
조시가 대학으로 떠날 때, 클라라는 낡은 AF가 삶의 막바지에서 남은 생을 보내는 곳인 야적장으로 보내졌다.
In the Yard, she remembered her days with Josie.
야적장에서 그녀는 조시와 함께한 시절을 기억했다.
(Klara) Josie was the best teenager for me.
(클라라) 조시는 저에게 최고의 십 대였어요.
I did all I could to learn Josie and to do what was best for her.
나는 조시를 배우고 그녀에게 최선을 다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했어요.
If it had become necessary, I could have continued Josie.
필요하다면 조시를 이어 나갈 수도 있었겠죠.
But I don’t think it would have worked out so well.
그런데 그렇게 잘 됐을 것 같지는 않아요.
Not because I wouldn’t have achieved accuracy, but however hard I tried, I believe now there would have remained something beyond my reach.
정확성을 얻지 못했을 거라서가 아니라, 아무리 열심히 노력한다고 해도 내가 닿을 수 없는 뭔가가 남아 있었을 거라고 이제는 믿어요.
Mr. Capaldi believed there was nothing special inside Josie, but I believe now that there was something very special.
카팔디 씨는 조시 안에 특별한 것이 없다고 믿었지만 저는 지금 뭔가 아주 특별한 것이 있었다고 믿어요.
But it wasn’t inside Josie.
그러나 그건 조시 안에 있지 않았어요.
It was inside those who loved her.
그건 그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었죠.
I would have never reached what they felt for Josie in their he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