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ssi is a fashion blogger who loves unique, vibrant clothes.
제시는 독특하고 생동감 넘치는 옷을 좋아하는 패션 블로거이다.
But guess what?
그런데 혹시 알고 있는가?
She does not buy new clothes.
그녀는 새 옷을 사지 않는다.
Instead, she buys them secondhand.
대신에 그녀는 옷들을 중고로 산다.
You may think secondhand clothes are old fashioned, but by buying them, Jessi can try different styles.
여러분은 아마 중고 옷은 구식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제시는 그것들을 구매함으로써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해 볼 수 있다.
She also does not get too attached to any style or brand because there is always another exciting outfit waiting to be discovered.
그녀는 또한 항상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또 다른 흥미로운 옷이 있기 때문에 어떤 스타일이나 브랜드에 지나치게 애착을 갖지 않는다.
Jessi’s clothing habits are not just about creating a style; they are about saving the Earth.
제시의 옷 습관은 단지 스타일을 만드는 것뿐만이 아니라, 지구를 구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The reason is that her actions help reduc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lothes.
그 이유는 그녀의 행동이 옷 생산과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Worth over $3 trillion and making up 2% of the world’s GDP, the fashion industry today has an almost entirely linear approach.
3조 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니며 세계 GDP의 2%를 차지하는 오늘날의 패션 산업은 거의 완전히 선형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The process moves in a straight line from design to consumption to disposal.
이 과정은 디자인에서 소비, 폐기까지 직선으로 진행된다.
Material extraction, textile manufacturing, the supply chain, design, sales, marketing, and other steps are guided by the aim of maximizing garment consumption without considering other issues.
재료 추출, 직물 제조, 공급망, 디자인, 판매, 마케팅 및 기타 단계는 다른 문제들을 고려하지 않고 의류 소비를 극대화하는 목적에 좌우된다.
Due to linear fashion, the fashion industry negatively affects the environment.
선형 패션 때문에 패션 산업은 환경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85% of textiles go into landfills, only 1% of the material is recycled, at least 500,000 tons of microfibers end up in the ocean (equal to 50 billion plastic bottles), and 93 billion cubic meters of water is required for textile production annually.
직물의 85%가 매립지로 가고, 재료의 1%만 재활용되며, (500억 개의 플라스틱 병과 동등한) 적어도 50만 톤의 초미세 섬유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며, 직물 생산에는 매년 930억 m³(입방 미터)의 물이 필요하다.
Alarming numbers like these will keep increasing if producers maintain the old system.
이러한 놀라운 수치는 생산자들이 오래된 체계를 유지하면 계속 증가할 것이다.
It is clear that waste and pollution from the fashion industry must be reduced.
패션 산업에서의 폐기물과 오염을 줄여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Linear fashion must change, and this could happen through circular fashion.
선형 패션은 변화해야만 하며, 그리고 이것은 순환 패션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Circular fashion is inspired by the principles of a circular econom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순환 패션은 순환 경제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원리에 영감을 받았다.
A circular economy is based on limiting waste, keeping resources and materials in use, and reusing them.
순환 경제는 폐기물을 제한하고, 자원과 재료를 계속하여 사용하며, 그것들을 재사용하는 것에 기반한다.
In a circular model, we make, use, and reuse materials for as long as possible to extract their maximum value.
순환 모델에서 우리는 재료의 최대 가치를 추출하기 위해 재료를 가능한 한 오랫동안 만들고, 사용하고, 재사용한다.
Therefore, clothing and textiles are produced, used, and reused to minimize waste.
그러므로 옷과 직물은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산되고, 사용되고, 재사용된다.
It is a renewable approach to reduce the fashion industry’s environmental impact.
이는 패션 산업의 환경 영향을 줄이는 재생 가능한 접근 방식이다.
Circular fashion provides numerous benefits.
순환 패션은 많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First, extending the lifespan of fibers significantly reduces textile waste, benefiting the environment.
첫째, 섬유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은 직물 폐기물을 크게 줄이고 환경에 이로움을 준다.
Second, circular processes utilize chemicals and materials safe for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둘째, 순환 과정에서는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안전한 화학 물질과 재료를 이용한다.
This practice protects the environment and consumer health.
이러한 실천은 환경과 소비자 건강을 보호한다.
Third, materials are regenerated instead of being disposed of, which enables their long-term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