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튜터 실력 - S08 U01-U04
59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Socks are just something we pull onto our feet every morning, so they may not seem important to you and me.
양말은 우리가 매일 아침 우리 발에 신는 것일 뿐이라서, 여러분과 내게는 중요하지 않아 보일지도 모른다.
But they can make a huge difference in the lives of some people.
하지만 양말은 어떤 사람들의 인생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dina Lichtman learned this when she was a college student.
아디나 릭트먼은 그녀가 대학생이었을 때 이것을 알게 되었다.
She had decided to help homeless people in New York City and was distributing free sandwiches on the street.
그녀는 뉴욕 시의 노숙자들을 돕기로 결심했고 거리에서 무료 샌드위치를 나눠주고 있었다.
One grateful man thanked her for the sandwich, but then he mentioned that winter was coming.
고마움을 느낀 한 남자가 샌드위치에 대해 그녀에게 고마워했지만, 그러고 나서 그는 겨울이 오고 있다고 말했다.
When the weather turns frigid, he told her, homeless people need socks more than anything else.
날씨가 몹시 추워지면, 노숙자들은 다른 어떤 것보다 양말이 필요하다고 그가 그녀에게 말했다.
That night, after deciding to take action, Lichtman started knocking on doors in her dormitory, asking her classmates to donate one pair of socks.
그날 밤, 릭트먼은 행동을 하기로 결심한 후에, 그녀의 기숙사의 문들을 두드리기 시작해서, 그녀의 학과 친구들에게 양말 한 켤레를 기부해 달라고 부탁했다.
By the next morning, she had collected 40 pairs.
다음 날 아침까지, 그녀는 양말 40켤레를 모았다.
Today she runs a nonprofit organization, called Knock Knock, Give a Sock (KKGS), that has donated more than 350,000 pairs of socks to homeless people all across America.
현재 그녀는 미국 전역에서 노숙자들에게 35만 켤레 이상의 양말을 기부해 온 Knock Knock, Give a Sock(KKGS)이라고 불리는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
There are numerous organizations that work to help the homeless, but Lichtman explains why KKGS is special: “While many people donate clothing, nine out of every ten clothing donors have never donated socks.”
노숙자들을 돕기 위해 일하는 수많은 단체들이 있지만, 릭트먼은 왜 KKGS가 특별한지 설명한다. “많은 사람들이 옷을 기부하지만, 옷을 기부하는 사람 열 명 중 아홉 명이 양말을 기부한 적은 없어요.”
Lichtman identified an important need and found a way to fill it.
릭트먼은 중요한 필요성을 찾아냈고 그것을 충족시킬 방법을 찾았다.
Thanks to her innovative thinking, thousands of people will have warm feet this winter.
그녀의 혁신적인 생각 덕분에, 수천 명의 사람들이 올겨울에 발이 따뜻할 것이다.
The human brain is an amazing thing.
인간 두뇌는 굉장한 것이다.
However, there are some tasks that are simply too complex for our brains to handle well.
그러나, 그저 너무 복잡해서 우리의 뇌가 다룰 수 없는 몇 가지 일들이 있다.
That’s why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known as AI, plays many important rol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healthcare.
그것이 AI라고도 알려진 인공 지능이 특히 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많은 역할들을 하는 이유이다.
Doctors in the US are highly trained and have access to all the latest equipment.
미국의 의사들은 훈련이 잘되어 있고 모든 최신 장비에 접근할 수 있다.
Despite this, it is estimated that American doctors make about 1.5 million medication mistakes every year.
이에도 불구하고, 미국 의사들은 매년 약 150만 번의 의료 실수를 한다고 추정된다.
This isn’t always the doctors’ fault.
이것은 항상 의사의 잘못만은 아니다.
In reality, most doctors spend five hours a month or less reading medical papers.
실제로는, 대부분의 의사들이 의학 논문을 읽는 데 한 달에 5시간 이하를 보낸다.
If you wanted to read every new medical paper that was published, you would need 160 hours of free time every week.
여러분이 발행된 모든 새로운 의학 논문을 읽기를 원한다면, 여러분은 매주 160시간이라는 여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AI, on the other hand, has the ability to analyze and understand every medical paper ever written.
반면에, AI는 지금까지 쓰인 모든 의학 논문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있다.
All of these details can be stored in a database and recalled instantly.
이 모든 세부 사항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즉시 불러와질 수 있다.
Using this information, it can recommend medications and treatments just as well as the best doctors, and it be less likely to make mistakes.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AI는 최고의 의사가 하는 것만큼 능숙하게 약물과 치료법을 추천할 수 있고, 실수할 가능성이 더 낮다.
Of course, there is a downside.
물론, 불리한 면이 있다.
AI cannot show concern and care as a human can.
AI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처럼 배려와 보살핌을 보여줄 수 없다.
Patients need proper treatments and medications, but they also need compassion.
환자들은 적절한 치료와 약물이 필요하지만, 또한 연민도 필요하다.
For this reason, AI will never completely replace human doctors.
이러한 이유로, AI는 인간 의사들을 결코 완전하게 대체할 수 없을 것이다.
However, we should still take advantage of AI to reduce errors within the healthcare system.
그러나, 우리는 의료 시스템 내의 실수들을 줄이기 위해 여전히 AI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Unlike most parks, the High Line in New York City does not have sports fields, playgrounds, or a running track.
대부분의 공원과는 달리, 뉴욕 시의 하이라인은 운동장도, 놀이터도, 달리기 트랙도 없다.
It is not even found at street level; rather, it is located high above the streets, and passes between buildings.
그것은 심지어 거리와 같은 높이에 있지도 않다. 오히려 이 공원은 길 위에 높이 위치해 있어 건물들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The High Line was originally a train line in Manhattan.
하이라인은 원래 맨해튼의 철로였다.
The street it ran along became known as “Death Avenue” because a number of people were hit by passing trains there.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서 지나가는 기차에 치이는 바람에, 철로가 있던 길은 ‘죽음의 거리’로 알려지게 되었다.
To stop this, the tracks were moved onto a structure that was 10 meters high.
이를 막기 위해, 철로는 10미터 높이에 있는 구조물 위로 옮겨졌다.
Over time, however, the line was used less and less, and in 1980 trains stopped using it altogether.
하지만 시간이 가면서, 이 노선은 점점 덜 사용되었고, 1980년에 기차는 이 철로를 사용하는 것을 완전히 중단했다.
Some people complained about the abandoned structure, so the city decided to tear it down.
몇몇 사람들은 이 버려진 구조물에 대해 불평했고, 뉴욕 시는 그것을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But Robert Hammond, a local designer, wanted to keep it.
그러나 지역 디자이너인 로버트 해먼드는 그것을 보존하고 싶어 했다.
So he started an organization called Friends of the High Line.
그래서 그는 ‘하이라인의 친구들’이라고 불리는 단체를 시작했다.
They tried to think of a new use for the structure.
그들은 그 구조물의 새로운 용도를 생각해 내려고 애썼다.
One day Hammond climbed onto it and saw that it was covered in beautiful wildflowers.
어느 날 해먼드는 구조물의 위에 올라가 보았고, 그것이 아름다운 야생화들로 뒤덮여 있는 것을 보았다.
At that moment, he decided to turn it into a park.
그 순간, 그는 그 구조물을 공원으로 바꾸기로 결심했다.
At first, people opposed his idea, because the park would cost a lot of money to build.
처음에 사람들은 공원을 짓는 데 돈이 많이 들 것이라 그의 생각에 반대했다.
But Hammond explained that the park would be beneficial to the city.
하지만 해먼드는 공원이 시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The city government finally decided to support the project.
뉴욕 시 정부는 결국 그 프로젝트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The park’s first section opened to the public in 2009.
공원의 첫 구획은 2009년 공공에 개방되었다.
The next year, more than two million people visited it.
그다음 해, 이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곳을 방문했다.
With a little imagination and some hard work, an old train line was turned into a unique public space.
약간의 상상력과 노고로, 낡은 철로가 독특한 공공장소로 탈바꿈했다.
“Tree-sitting” is one form of demonstration that people use to stop loggers from cutting down forests.
‘트리 시팅’은 벌목꾼들이 숲의 나무들을 베는 것을 막기 위해 사람들이 사용하는 하나의 시위 형태이다.
Perhaps the best known of these tree-sitting efforts took place in a wooded area of Northern California.
한 트리 시팅 운동 중 아마도 가장 유명한 것이 북부 캘리포니아의 한 삼림 지역에서 있었다.
Here a young woman named Julia “Butterfly” Hill showed incredible determination and strength by sitting in a tall redwood for 738 days.
이곳에서 줄리아 ‘버터플라이’ 힐이라는 이름의 젊은 여성이 높은 삼나무에서 738일을 앉아 있음으로써 놀라운 결단력과 힘을 보여 주었다.
Her efforts saved the tree and brought worldwide attention to the need to protect our forests from loggers.
그녀의 노력은 그 나무를 구했고, 우리의 삼림을 벌목꾼으로부터 보호할 필요성에 전 세계의 관심을 가져왔다.
Julia holds the record for the longest tree-sitting effort by one person.
줄리아는 개인으로서 가장 오랫동안 트리 시팅 운동을 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You may think it is just sitting down, but there is a lot more to tree-sitting than that.
그냥 앉아 있는 것뿐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트리 시팅에는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들이 있다.
It is a dangerous activity that requires lots of strength and courage.
그것은 많은 힘과 용기를 필요로 하는 위험한 일이다.
For example, tree-sitters are often confronted by government officials and angry loggers.
예를 들어, 트리 시팅을 하는 사람들은 종종 정부 관리나 화가 난 벌목꾼들과 대립한다.
The weather gives them a hard time, too.
날씨도 그들을 힘들게 한다.
Though some days are filled with pleasant sunshine, others are filled with high winds and heavy rains, so endurance is a key quality of any tree-sitter.
어떤 날은 기분 좋은 햇빛이 가득하지만, 다른 어떤 날은 세찬 바람과 폭우가 엄습하기 때문에 인내심은 트리 시팅을 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중요한 자질이다.
And there is always the danger of falling from the tree.
그리고 언제나 나무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다.
Several tree-sitters have died this way in recent years.
트리 시팅을 하던 몇몇 사람이 최근 몇 년 동안 이로 인해 사망했다.
Clearly, tree-sitters deserve our appreciation for their efforts because they are helping to save our forests, which we can’t live without.
확실히, 트리 시팅을 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노력에 대해 우리의 감사를 받을 만한데, 그들은 우리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될 삼림을 구하는 것을 돕고 있기 때문이다.
학생
문장을 낭독, 쉐도잉, 녹음 하는 스피킹 (로그인) 〉
가장 빠르게 암기하도록 도와주는 암기학습 (로그인) 〉
제대로 외웠나 바로 확인하는 리콜학습 (로그인) 〉
철자까지 외우려면 스펠학습 (로그인) 〉
재미있게 복습하려면 스크램블 (로그인) 〉
주관식으로도 재미있는 복습, 크래시 게임 (로그인) 〉
선생님
수업 중 이 단어장을 보고 듣고 질문하는 슬라이드 (로그인) 〉
수업시간이 들썩 들썩 퀴즈배틀 (로그인) 〉
클릭만으로 종이낭비 없이 시험지 인쇄 (로그인) 〉
필요한 세트를 직접 만드는 단어장 만들기 (로그인) 〉
선생님들이 만드신 30만개 단어장 검색하기 〉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